"한국 맞아?" 한글 없는 '영어 필기체' 메뉴판…"스펠링도 엉망"

홍효진 기자 2023. 11. 21. 07: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젊은 세대들의 명소로 떠오른 유명 카페 등에서 영어로만 쓰인 메뉴판이 사용되면서, 손님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영어에선 인명을 쓸 때 맨 앞 글자를 대문자로 쓰기 때문에 얼 그레이 티를 쓸 때도 'Grey'로 쓰지만, 해당 카페 메뉴판에는 'Earlgrey'라고 표기했다는 지적이다.

SNS 인기 명소로 꼽히는 카페·식당에서 영어 메뉴판을 사용하는 일이 늘자 '영어 남용'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의 명소로 떠오른 유명 카페 등에서 영어로만 쓰인 메뉴판이 사용되면서, 손님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영어 스펠링에 오류가 있는 경우도 있어 '영어 남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X(구 트위터)

"그래도 한국인데 메뉴라도 한글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젊은 세대들의 명소로 떠오른 유명 카페 등에서 영어로만 쓰인 메뉴판이 사용되면서, 손님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영어 철자를 잘못 쓰는 일도 발생하며 '영어 남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X(구 트위터) 이용자 A씨는 지난 20일 "말문이 막힌다"며 자신이 방문한 카페의 메뉴판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영어 필기체만으로 쓰인 메뉴판 모습이 담겨있었다.

A씨는 "진짜 말문이 턱 막혔다. 영어 모르는 사람은 시키지 말라는 건지, '이것도 못 읽나?'라고 놀리는 건지"라며 "심지어 정자체도 아니고 필기체라 더 못 읽겠다. 왜 영어 메뉴판을 욕하는지 알겠다. 여긴 한국이다"라고 했다.

같은 카페를 방문한 또 다른 누리꾼 B씨도 자신의 블로그에 "디저트는 맛있었지만 메뉴판이 영어로만 쓰여 있어서 당황스러웠다"며 "여기가 한국인지, 다른 나라인지 모르겠다"고 황당하단 반응을 보였다.

젊은 세대들의 명소로 떠오른 유명 카페 등에서 영어로만 쓰인 메뉴판이 사용되면서, 손님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영어 스펠링에 오류가 있는 경우도 있어 '영어 남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X(구 트위터)

해당 카페는 서울과 경기권에 매장을 두고 있는 유명 카페로 알려졌다. 누리꾼들은 "그래도 한국인데 메뉴라도 한글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 "영어 할 줄 알고 말고를 떠나 당연히 한글로 적힌 메뉴판과 메뉴 설명이 있어야 한다" "음식 알레르기 있는 사람은 어떻게 알아보고 주문하나" 등 반응을 보이며 공감했다.

오타가 발견되기도 했다. 박치욱 퍼듀대 약학대학 교수는 자신의 X 계정에 A씨 게시물을 인용하며 "영어로만 써 놨는데 글씨체도 스펠링도 엉망"이라며 "'얼 그레이 티'에서 '그레이'(Grey)는 대문자로 써야 한다. Grey가 사람 이름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얼 그레이 티는 1800년대 찰스 그레이 영국 총리와 관련이 깊은 차로 알려져 있다. 영어에선 인명을 쓸 때 맨 앞 글자를 대문자로 쓰기 때문에 얼 그레이 티를 쓸 때도 'Grey'로 쓰지만, 해당 카페 메뉴판에는 'Earlgrey'라고 표기했다는 지적이다.

SNS 인기 명소로 꼽히는 카페·식당에서 영어 메뉴판을 사용하는 일이 늘자 '영어 남용'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영어를 쓰는 가게가 많지만 지나친 사용은 고령자 차별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한 누리꾼은 "카페에 갔는데 어머니께 내가 '메뉴판 찍어 보내드릴 테니 고르세요'라고 말하고 주문하러 갔는데 메뉴판이 온통 영어였다. 메뉴판 사진도 못 보냈다"고 경험을 전했다.

또 다른 누리꾼도 "요즘 메뉴판에 영어랑 한글은 작은 글씨로 쓰여 있는 경우가 많다"며 "어머니와 방문했는데, 어머니가 '맛있는데 가게가 젊은 층 손님만 받는 거 같아 소외감 든다'고 하시더라"고 했다.

홍효진 기자 hyost@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