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사러 마트 갔다가…"이 가격 실화?" 화들짝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한경제 2023. 11. 17. 14: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주만에 일 아침 기온이 영상 17℃에서 영하권으로 내려앉는 등 기온이 급변하자 채소류 가격이 널뛰고 있다.

17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도매시장에서 오이, 상추, 깻잎 등 채소류 가격은 1주일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한반도 일부 지역의 한낮 최고 기온은 20℃를 넘기는 등 '더운 가을'이 이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위 급습에 오이·상추 가격 껑충
김장재료 가격은 안정
(사진=뉴스1)


2주만에 일 아침 기온이 영상 17℃에서 영하권으로 내려앉는 등 기온이 급변하자 채소류 가격이 널뛰고 있다. 추위에 약한 작물일수록 변동 폭은 더 컸다. 겨울철 대표 과일인 딸기의 경우 여름철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출하 물량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도매시장에서 오이, 상추, 깻잎 등 채소류 가격은 1주일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산 오이는 지난주보다 115.8% 오른 ㎏당 4256원에 거래됐고 상추는 116.2% 급등한 4029원, 깻잎은 45.4% 뛴 5175원에 판매됐다.

국산 오이 도매 가격(자료=테란)


이달 초까지만 해도 한반도 일부 지역의 한낮 최고 기온은 20℃를 넘기는 등 ‘더운 가을’이 이어졌다. 덕분에 농산물 가격도 안정권에 접어들었다.

2주 만에 강추위가 찾아오자 채소류 가격이 가장 먼저 반응했다. 오이는 추위와 바람에 취약하고 엽채류 또한 잎이 얇아 기온에 매우 민감하다. 17일은 전국 아침 기온이 대부분 영하권에 접어들었고 서울에는 작년보다 12일 빨리 첫눈이 내렸다. KAPI는 지난 4일 138.04포인트에서 16일 151.04포인트까지 상승했다.

A 대형마트 관계자는 “지금쯤 오이 출하량이 많아야 하는데 최근 기온 하강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며 “동절기 주산지인 경북 상주, 전남 고흥에서도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성장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장 주재료인 배추와 무 시세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배추 도매가는 한 달 전보다 14.6%, 무는 12.2% 하락했다. 이달 들어 가을배추의 출하량이 증가한 영향이다. 정부의 강력한 공급 대응책도 시세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조사 결과, 11월 중순 김장비용은 평균 19만 3106원으로 전년 동기(21만 6358원) 대비 10.7%, 지난주(21만 8425원)보다는 11.6% 저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장재료 구입비용(자료=aT)


B 식자재 유통업체 관계자는 “배추 주산지인 전남 해남, 무안에서 생육에 적당한 기온과 충분한 일조량이 이어지고 있다”며 “배추는 추위에 강한 내한성 작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겨울 대표 과일 딸기는 지난 여름철 이상기후의 영향을 받았다. 여름에 폭우, 폭염이 반복되어 농가에서 정식 시기를 8월에서 9월로 한 달 미뤘기 때문이다. 출하 물량도 전년 대비 감소세다. C 대형마트 관계자는 “딸기는 시설 재배가 많고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작물인 만큼 본격 출하 시기까지는 생육이 회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했다.

한경제 기자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