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2세대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비염 기침 치료 효과 없어”

구현주 기자 2023. 11. 16. 09: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우정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가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한 만성기침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마이데일리 = 구현주 기자]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한 만성 기침 치료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6일 서울아산병원은 이같은 연구결과가 유럽호흡기학회 온라인 학술지 ‘유럽호흡기저널 오픈 리서치(ERJ Open Research, IF=4.6)’에 최근 게재됐다고 밝혔다.

알레르기 비염이 만성 기침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그간 임상 현장에서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 대비 졸음 등 부작용이 적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흔히 처방됐다.

송우정·이지향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팀은 알레르기 비염이 동반된 만성 기침 환자 49명을 2세대 항히스타민제 혹은 위약 복용 두 집단으로 나눠 2주 동안 치료 후 약 효과를 분했다. 그 결과 기침 증상이 두 집단 모두 완화됐지만 호전 정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팀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알레르기 비염으로 3주 이상 기침이 지속돼 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49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25명에게는 2주 동안 항히스타민제를, 24명에게는 위약을 복용시켰다.

송우정(왼쪽)·이지향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팀./서울아산병원

레스터 기침 설문(LCQ)을 치료 전후로 실시한 결과, 항히스타민제 복용 집단은 2주 후 설문 점수가 평균 12.49점에서 15.94점으로 3.45점 높아졌다. 위약 복용 집단은 평균 12.77점에서 15.81점으로 3.04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LCQ는 기침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질문에 환자가 응답하는 방식이다. 두 집단 모두 기침 관련 삶의 질이 상승한 정도가 거의 비슷했다고 응답한 셈이다.

레스터 기침 설문 점수가 5점 이상 크게 상승한 환자 비율도 항히스타민제 복용 집단은 36%, 위약 복용 집단은 32%였다.

증상 정도를 환자 스스로 100mm 가로선에 표시하는 시각아날로그척도(VAS)를 활용해 기침, 목 이물감의 중증도를 측정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호전됐지만 호전 정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 집단은 기침 중증도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가 평균 31점 낮아졌으며, 위약 복용 집단은 평균 25점 낮아졌다. 목 이물감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도 항히스타민제 복용 집단은 평균 28점 낮아졌는데, 위약 복용 집단은 평균 27점 낮아졌다.

송우정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흔히 처방되고 있었다”며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알레르기 비염 표준 치료제인 것은 변함이 없지만, 만성 기침 조절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