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필수품은 '돋보기와 보청기'···“할머니 수능 치고 올게”

김남명 기자 2023. 11. 15.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1시.

일성여중고 3학년 학생들 250여 명 중 수능에 도전하는 96명이 빼곡히 모여 수험표를 배부받았다.

수능 당일 아침 일찍 일어나 직접 찰밥과 김, 빵 등 간단한 메뉴의 점심 도시락을 챙긴 뒤 오전 8시 1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시험을 쳐야 하는 빡빡한 일정이 예정돼 있었지만 학생들은 모두 설레는 표정으로 수험표를 들고 웃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0~80대 만학도의 수능 도전기]
일성여고 96명 수험표 배부받아
2년제 학력인정 평생학교에서
중·고교 과정 마치고 수능 도전
"못 배운 한 풀어서 좋다" 활짝
'만학도 전형' 갖춘 대학에 도전
202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일성여중고 3학년 학생들이 서울 마포구 서울여고에 마련된 고사장을 찾아 수험표를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남명 기자
[서울경제]

“여보, 등록금 준비해! 아들, 딸~ 엄마도 대학 간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1시. 일성여중고 3학년 학생들 250여 명 중 수능에 도전하는 96명이 빼곡히 모여 수험표를 배부받았다. 이날 시험 유의 사항으로 ‘돋보기, 보청기, 혈당 측정기 지참’ 등을 안내받은 이들은 모두 늦깎이 여성 만학도다. 어려운 가정 형편 탓에 중고교 정규 수업을 받지 못했지만 못다 피운 꿈을 이루기 위해 일성여중고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이번 수능에 응시하는 최고령 학생은 81세다.

202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일성여중고 3학년 학생들이 교내에 모여 시험 유의 사항을 숙지하고 있다. 김남명 기자

입실 및 퇴실 시간, 부정행위 안내 등을 차례로 숙지하던 학생들은 “한문 시험까지 끝나면 오후 5시 45분”이라는 선생님의 말에 “워메”라며 탄성을 질렀다. “수능을 다 친 후 수험표 혜택을 여러 할인을 누리라”는 선생님의 말에 “창피해서 못 들고 다니겠다”며 수줍게 답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수능 당일 아침 일찍 일어나 직접 찰밥과 김, 빵 등 간단한 메뉴의 점심 도시락을 챙긴 뒤 오전 8시 1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시험을 쳐야 하는 빡빡한 일정이 예정돼 있었지만 학생들은 모두 설레는 표정으로 수험표를 들고 웃었다.

202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일성여중고 3학년 학생들이 서울여고에 마련된 고사장을 찾기 위해 수험번호가 쓰인 안내판을 보고 있다. 김남명 기자

이들 중 대부분은 ‘만학도 전형’이 있는 대학으로 진학하지만 전공은 사회복지학과·조리학과·부동산학과 등으로 매우 다양한 편이다. 장학금을 받고 다니는 경우도 많다. 배화여대 K푸드조리학과에서 성적우수장학생으로 합격 통보를 받은 뒤 수능을 치르는 3학년 4반 박원희(66) 씨는 “한 달에 한 번씩 치는 한자 시험과 씨름을 하고 지하철에서 꾸벅꾸벅 졸면서도 영어 단어가 적힌 종이를 꼭 쥐고 외웠던 시간이 기억난다”면서 “이제 수능을 치고 마지막 꿈인 대학으로 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202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일성여중고에서 교내 수능 최고령 응시자인 김정자(81) 씨가 수험표를 배부받고 있다. 김남명 기자

한글과 영어 공부를 위해 학교를 찾았다가 수능까지 도전하게 됐다는 최고령 응시자 3학년 1반 김정자(81) 씨의 꿈은 미국에 있는 손자·손녀들과 영어로 자유롭게 전화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나고 자란 손주들이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아서다. 그는 “호적상으로는 81세이지만 사실 올해 84세가 됐는데 공부는 잘 못해도 6년 동안 지각·결석·조퇴 한 번 하지 않고, 남들보다 일찍 학교에 왔다”면서 “수능을 치고 대학에 가면 손주들과 영어로 전화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일성여중고 2학년 학생들이 수능 응시자를 응원하고 있다. 김남명 기자

이날 건물 곳곳에는 형광색 조끼를 입은 고2 학생 30여 명이 응원 플래카드와 페트병 등을 들고 “엄마도 대학 간다! 일성여고 화이팅! 떡하니 붙어라!” 등의 응원 구호를 연신 외치며 힘을 보탰다. 3학년 1반 담임을 맡은 이정순 선생님도 “학생들이 한 과목당 100분이라는 주어진 시간 동안 앉아서 집중하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 “높은 점수를 바라기보다 준비한 대로 시험을 잘 마쳤으면 좋겠다”고 격려했다.

김남명 기자 name@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