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킬러 ‘말벌’ 대량포획기술 개발 성공

정종윤 2023. 11. 15. 14: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도가 꿀벌 킬러로 불리며 꿀벌 실종 사태 3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받고 있는 '등검은말벌'을 대량 포획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충남도는 도 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 이종은 연구사를 비롯한 연구팀이 '등검은말벌 유인용 조성물'을 개발, 최근 특허출원을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이 때문에 최근 발생하고 있는 꿀벌 집단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의 원인 중 하나로 등검은말벌이 지목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남도 산업곤충연구소 개발…‘등검은말벌 유인용 조성물’ 특허출원 완료

[아이뉴스24 정종윤 기자] 충남도가 꿀벌 킬러로 불리며 꿀벌 실종 사태 3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받고 있는 '등검은말벌'을 대량 포획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충남도는 도 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 이종은 연구사를 비롯한 연구팀이 ‘등검은말벌 유인용 조성물’을 개발, 최근 특허출원을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말벌은 응애·진드기, 부저병과 함께 꿀벌 피해 3대 골칫거리 중 하나로 말벌과인 등검은말벌은 전국으로 확산돼 양봉농가에 큰 손실을 입히고 있다.

동남아시아나 중국 남부 일대 아열대 기후에서 서식하는 외래 해충인 등검은말벌은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됐다.

지난달 17∼22일 소형 포획기 1기에서 잡은 300여 마리 말벌 [사진=충남도]

당초 벌 전문가들은 등검은말벌이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 날씨를 견디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여왕벌이 월동에 성공하며 우리나라 전역으로 확산됐고 2019년에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됐다.

등검은말벌 먹이의 85% 이상은 꿀벌로, 이 말벌의 개체수 증가는 꿀벌 봉군 세력 약화 등을 불러오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발생하고 있는 꿀벌 집단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의 원인 중 하나로 등검은말벌이 지목되기도 했다.

등검은말벌은 꿀벌을 잡아 단백질인 가슴근육 부위를 추려내 직접 섭취하거나, 여왕벌·애벌레에게 먹이로 제공한다. 등검은말벌 1마리가 하루 동안 사냥하는 꿀벌은 10∼15마리 가량으로 파악되고 있다.

산업곤충연구소가 이번에 특허출원한 것은 일반 포획기 내에 넣는 말벌 유인물질이다.

이 물질은 농업 부산물, 단맛·신맛이 나는 과일주스, 수분 유지 보조제 등에 말벌 유인력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을 첨가해 만든 것으로 시판 제품에 비해 등검은말벌 유인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주 정안에서 채집한 말벌 [사진=충남도]

산업곤충연구소가 이 유인물을 활용해 포획한 등검은말벌 중 최대치는 지난달 17∼22일 소형 포획기 1기에서 잡은 300여 마리다. 같은 기간 시판 유인물을 넣은 포획기에서 잡은 등검은말벌은 최대 15마리에 불과했다.

특허출원 물질이 시판 제품에 비해 등검은말벌 유인 효과가 최대 20배 가량 높은 셈이다.

이종은 연구사는 “특허출원 이후 성분을 개선한 유인물은 등검은말벌뿐만 아니라 장수말벌이나 꼬마장수말벌, 좀말벌 등 다른 말벌류에 대한 유인 효과도 우수했다”라며 “전국에서 지속적으로 등검은말벌을 방제할 수 있도록, 조속한 기업체 선정 및 기술 이전을 통해 특허출원 유인물 대량 생산과 보급을 추진토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꿀벌은 전 세계 과채 수분의 70% 이상을 담당하고 인간에게 연간 50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포=정종윤 기자(jy0070@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