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살고 있는 집, 내년엔 오를까"

이미연 2023. 11. 14. 16: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유주택자, 10명 중 1명 "오를 것" 답변
'역세권 비아파트'보단 '비역세권 아파트' 선호도 높아
2015년 이후 현 거주지의 향후 1년 부동산 시세 전망에 대해 '올라갈 것' 응답률 추이. 자료 피데스개발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주택을 소유한 이들의12.8%는 현 거주지의 내년 시세가 올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정책이 향후 부동산 거래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영향이 있다'는 답변이 17.3%로 집계돼 작년(28.7%)에 비해 줄어들었다.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 등은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수도권 주택 소유자 1000명 대상으로 '2023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응답자들은 '현 거주지의 향후 1년 부동산 시세 전망'에 대해 절반 정도가 '지금과 비슷'(52.7%)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12.8%는 올라갈 것('약간 올라갈 것', '많이 올라갈 것' 응답 합계)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5.1%)보다 7.7%p 오른 수준이다. 작년 63.3%였던 하락('약간 내려갈 것', '많이 내려갈 것' 응답 합계) 전망치는 올해 34.5%로 28.8%나 감소했다

집값 상승을 예상은 2015년 40.4% 기록 후 지속적으로 줄어 2018년 19.0%까지 감소했지만 2019년 21.9%로 증가한 뒤 다시 2021년에는 53.6%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은 금리인상의 여파까지 덮쳐 2022년에는 5.1%까지 추락했다가 그나마 올해 조사에서 12.8%로 늘어났다.

공동조사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수도권 주택 소유자들은 내년 부동산 경기와 시세가 올해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향후 부동산 거래(매도/매수)에 대한 부동산 정책의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17.3%가 '영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2021년 48.3%을 기록했던 이 답변은 2022년 28.7%로 떨어진데 이어 올해 더욱 하락했다.

부동산 투자가치에 대한 질문에는 현재와 유사한 수준으로 보는 예상(53.6%)이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반면 '낮을 것'이라는 응답은 31.2%로 작년 50.8%에 비해 19.6%p 줄었다.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대한 질문에는 △양극화 등 지역별 차이가 날 것 37.7% △실수요/투자 수요 시장 모두 위축 33.3% △실거주자 위주의 시장 전개 13.4% △투자자 위주의 시장전개 13.3% △변화없음 2.3% 순으로 응답했다.

선호하는 주택 차별화 테마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고급 인테리어 주택 40.3% △조경특화 주택 36.0% △커뮤니티 특화주택 33.7% △헬스케어 건강주택 33.5%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매년 선호도가 상승해온 '고급 인테리어 주택'은 작년 4위(33.2%)에서 올해 1위(40.3%)로 뛰어올랐다.

아파트 선호현상도 지속됐다. 구입시 선호하는 주택형에 대한 질문에 '아파트'가 82.9%로 압도적인 1위를 지켰고, 이어 △주상복합 3.8% △단독주택 3.8% △상가주택 2.1% △오피스텔 2.0% △연립/다세대/빌라 1.9% △도시형생활주택 1.2% △타운하우스 0.8% 순으로 답했다. 전원주택의 경우 작년 2.4%에서 올해 0.5%로 감소했다.

또한 '비역세권 아파트(역세권에서 떨어져 있는 아파트)'과 '역세권 비아파트(역세권 내 연립/다세대 등)' 중 어떤 주택을 선호하느냐는 질문에는 71.0%가 '비역세권 아파트'라고 답했다.

도보로 역에서 몇 분 정도 걸리는 거리까지 역세권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10분 이내 54.3% △7분 이내 25.6% △12분 이내 8.1% △5분 이내 7.9% 순으로 응답했다. 그 외 △15분 이내 3.8% △3분 이내 0.3%로 나타났다.

향후 이사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26.0%로 작년 11.6%보다 14.4% 상승했으며, △2019년 21.5% △2020년 9.3% △2021년 15.8% △2022년 11.6%에 이어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주거시설을 구입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내적 요인으로 △전망/조망 16.2% △인테리어/스타일 14.5% △내부 평면구조 14.3% △부대시설 13.5% △단지배치/향 11.5% △자재/마감재 수준 8.5% △빌트인 가구/전자제품 8.5% 순으로 응답했다.

'전망/조망'은 작년 4위(13.8%)에서 올해 1위로 상승했으며, '내부 평면구조'는 작년 1위(21.3%)에서 올해 3위로, '인테리어/스타일'은 작년 7위(7.5%)에서 2위에 올랐다. 인테리어와 연관성 있는 '자재/마감재 수준'은 작년 3.1%에서 8.5%로 상승했다.

공동조사팀 관계자는 "팬데믹에서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내적 상품요인으로 '전망/조망' 및 '실내 인테리어', '자재/마감재 수준'을 이전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고령화 추세에 따른 시니어 공동주거단지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 45.9% △보통 36.0% △불필요 18.1%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시니어 공동주거단지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응답은 △입주의향 있다 53.2% △모르겠다 34.6% △의향없다 12.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2023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는 수도권 지역 35~69세의 주택 소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본추출방법은 지역별 층화 후 무작위추출, 자료수집 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 및 보기카드, 조사방법은 1대1 개별 면접조사로 2023년 8월~11월까지 조사분석이 실시됐다. 표본오차 ±3.1% (95% 신뢰수준)이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