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에어백의 대중화"…세이프웨어 판매몰 운영[중기소식]

배민욱 기자 2023. 11. 14. 15: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세이프웨어 공식 판매몰 '세이프몰'. (사진=세이프웨어 제공) 2023.11.1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배민욱 기자 = 14일 중소기업계 소식.

▲휴먼 세이프티 솔루션 기업 세이프웨어가 추락·교통사고로 인한 중상 방지를 위해 웨어러블 에어백 대중화에 나선다. 세이프웨어는 공식 판매몰 '세이프몰'을 운영하고 스마트 추락보호 에어백 C3를 선보였다. 또 모빌리티용 에어백 베스트(vest) M시리즈를 출시한다. 세이프웨어는 공식몰 오픈을 통해 그동안 B2B(기업간거래)·B2G(기업정부간거래) 위주로 공급하던 스마트 추락보호 에어백 C3의 판매 채널을 확대한다. 특히 공식몰 오픈과 함께 오토바이나 전동바이크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모빌리티용 에어백 베스트 M시리즈도 새롭게 선보였다. M시리즈(M1·M2)는 이륜 오토바이 운행 중 충돌과 미끄러짐 사고 발생 시 헬멧이 보호하지 못하는 운전자의 주요 신체 부위인 경추, 척추, 허리 등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웨어러블 에어백이다. 사고 시 운전자와 바이크를 연결한 키볼(key ball)이 분리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돼 에어백이 터진다. M시리즈 중 M1은 이미 공공기관에 시제품으로 공급됐다. C3는 고소 작업 현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추락사고로 인한 중상 위험을 줄여 주는 입는 형태의 에어백이다.

▲레지던스 호스피탈리티 기업 지냄이 5070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웰에이징 센터 '고:요 웰니스 반포'를 선보인다. 고:요 웰니스 더 반포는 지냄의 하이엔드 시니어 레지던스 커뮤니티 브랜드 '고:요'의 두번째 오프라인 공간이다. 액티브 시니어와 럭셔리 소비층이 많은 강남 중심권에 위치한 반포자이프라자 5층에 운영된다. 고:요는 스스로의 몸 상태를 알아가는 '공감', 건강한 삶을 살아갈 나를 만나는 '경험', 신체에 쌓인 스트레스와 독소를 내보내는 '비움', 몸과 마음에 필요한 것을 얻는 '채움' 등의 테마로 구성됐다.

▲국내 기업 대림바스가 국내 3대 디자인 어워드에 속하는 '2023 굿 디자인 어워드(GD)'와 '2023 핀업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이번 어워드에서 수상한 대림바스 제품은 세면기 높낮이 시스템, 인공항문 세척기 세트, 스마트렛 4500 자동물내림 일체형비데(DST-4500) 등 3가지다. 세면기 높낮이 시스템은 두 곳의 디자인 어워드에서 동시에 인정받았다.

▲AI(인공지능) 도입의 전 과정을 돕는 올인원 솔루션 제공 기업 슈퍼브에이아이는 비전 AI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 진단 기능을 출시했다. 모델 진단 기능은 슈퍼브에이아이의 '슈퍼브 큐레이트' 솔루션에 적용된다. 슈퍼브 큐레이트는 컴퓨터 비전 데이터를 한 곳에서 쉽게 관리하고 선별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새로 도입되는 모델 진단은 이미지를 판독·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는 비전 AI 모델의 성능을 살펴보고 오류 유형을 파악하는 기능이다 AI 모델에 대한 각종 성능 지표 수치를 시각화해서 보여준다.

▲뉴랜드코리아는 스캐닝과 근거리무선통신(NFC)의 기능이 하나로 결합된 투-인-원(Two-in-One) 고정형 바코드 스캐너 제품인 'NLS-FM3280'을 선보인다. AIDC의 FM3X 시리즈 중 최상급 제품이다. 고성능 CMOS 카메라(1.3 MP)가 장착돼 있다. 특히 NLS-FM3280은 화면형 코드와 종이 인쇄형 코드 모두에 대한 탁월한 스캔 성능을 제공, 먼 거리에서도 판독이 가능하다.

▲IT부품·모듈기업 캠시스는 전기차 배터리 진단 시장 확대를 위해 선행 모델인 'CUBS'(Cammsys Ultrasound Battery Scanner)를 글로벌 이차전지 업체에 추가로 공급하며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CUBS는 지난해 자체 개발한 배터리 진단키트의 강화된 버전이다. 배터리 상태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자동 추출해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했다. 또 진단채널을 4개로 확장시켜 데이터의 정확도와 장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각 배터리 종류에 따라 적합한 주파수 대역대로 조절도 가능하다. 캠시스는 2025년까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 물성 변화를 측정·진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진단 로직과 장비를 개발 완료할 계획이다.

▲국내 종합 어학교육기관 파고다교육그룹이 카카오톡 톡학생증에 인증한 대학생과 대학원생 대상으로 파고다 브랜드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카카오톡 톡학생증은 카카오톡 지갑에서 제공하는 재학·졸업 정보 간편 인증 서비스다. 톡학생증 인증 후 파고다 이벤트 페이지로 들어가면 쿠폰이 자동 발급된다. 톡학생증을 발급받은 고객은 파고다어학원, 파고다원, 파고다토쿨, 파고다인강에서 모두 할인 혜택을 받는다. 파고다어학원 토플·아이엘츠·주말반 15%, 파고다원은 영어·중국어·일본어 대면&화상 수업(1개월) 신규 40%, 파고다토쿨 2주 40분 자유수강(2주 라이트클래스) 신규 50%, 파고다인강 전과목 단과·슈퍼패스·패키지·환급반 상품 25% 할인이 적용된다.

▲헬스케어 디바이스그룹 텐마인즈 모션필로우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양형채 교수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새로운 수면장애 해결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 7일 전남대병원에서 텐마인즈 김상학 대표와 전남대학교 양형채 교수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들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 장애 해결 방법을 함께 연구하고 이를 모션필로우에 도입·활용할 계획이다.

▲블루칩 아트테크 플랫폼 테사는 12월5~7일 '제1회 테사 아트테크 투자 전략 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조각투자 시장 현황부터 새롭게 출시될 투자계약증권의 개념을 살펴보고 내년 미술시장 트렌드를 한 자리에서 알아보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 발표·진행은 테사 김형준 대표가 맡는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경기 불황속에서도 지속 성장하는 미술품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와 투자계약증권 상품에 대한 핵심 내용을 짚어본다. 두번째는 미술품의 현명한 상속·증여 방안에 대해 변호사와 회계사를 초청해 관련 사례 중심으로 설명한다. 세번째 세션에서는 내년 미술시장 동향과 유망주로 떠오르는 인기 작가, 주요 트렌드 등을 제시한다.

▲연구실 시약·안전 관리 솔루션 '랩매니저 프로(PRO)'와 시약·연구물품 온라인 스토어 '랩매니저 스토어(STORE)'를 운영하는 스마트잭이 '2023 코리아 라이프사이언스 위크'에 전시 업체로 참가한다. 스마트잭은 회사의 대표 서비스 중 하나인 연구실 화학물질 재고 조사 대행 서비스 '랩매니저 전수조사'를 홍보하기 위해 이번 전시에 참가했다. 랩매니저 전수조사는 안전 교육을 이수한 숙련된 전문 조사원이 고객사 연구실을 직접 방문해 보유한 시약의 상세 정보, 보관 위치, 재고 수량을 파악한 후 전체 화학물질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서비스다.

▲실시간 사무보조 매칭 플랫폼 이지태스크가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SBA)이 공동 주관하는 '2023년 하이서울기업'에 선정됐다. 하이서울기업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생산성 등 다방면에서 우수한 기업 역량을 갖춘 서울시 소재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인증 사업이다. 선정된 기업은 서울시장 명의의 지정서를 받는다. 향후 3년간 B2B 비즈니스와 네트워크 연계, 글로벌 진출 지원, 서울경제진흥원 지원 사업 가점과 인센티브 부여 등의 혜택도 적용된다.

▲TJ미디어가 23일부터 서울 대치동 SETEC에서 열리는 '2023 시니어 라이프스타일 박람회'에 이동식 노래방 M2를 지원한다. 행사 마지막 날인 25일 TJ미디어 이동식 노래방 M2를 활용한 '제1회 시니어 트롯 가요제' 본선 무대가 열린다. TJ미디어 이동식 노래방 M2는 서울을 중심으로 여러 지자체 경로당에 설치된다.

▲이노비즈협회는 14일 경기 성남시 판교 협회에서 법무법인 바른과 '이노비즈기업 대상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노비즈기업의 ESG 혁신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주요 협력분야는 ESG 대응 법률컨설팅, 중대재해 예방과 사후대응 등 안전관리 자문, 기술·영업비밀 보호 등 기술가치 보존을 위한 자문서비스 연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mkba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