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늬만 인천글로벌캠퍼스... 지원엔 의무와 책임 따른다

경기일보 2023. 11. 14. 0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글로벌캠퍼스(IGC)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큰 자산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어느 경제자유구역도 이만한 교육 인프라를 갖추지 못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 IGC 타운에는 5개 외국대학이 있다. 그런데 이들 대학의 속을 들여다보니 글로벌과는 거리가 있다고 한다. 외국인 학생은 ‘가뭄에 콩 나듯’이고 주로 내국인 학생들로 채워져 있다. 그럼에도 인천시는 해마다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명실상부한 인천글로벌캠퍼스로 육성할 방안은 없는가.

현재 인천글로벌캠퍼스 대학들의 정원은 4천436명이다. 이 중 외국인 학생은 47개국의 351명(7.9%)뿐이다. 국적별로는 미국이 209명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 몽골 14명, 중국 12명, 러시아 11명, 필리핀과 미얀마 각 10명 등의 순이다. 결국 100명 중 93명이 내국인 학생이라는 얘기다. 대학별로는 겐트대의 외국인 학생 비율이 0.3%로 가장 낮다. 이어 조지메이슨대 6.5%, SBU 9.6%, 유타대 15%, FIT 21.4% 순이다. 외국인 학생 비율이 인하대보다 낮다. 인하대의 경우 1만7천798명의 재학생 중 1천886명(10.5%)이 외국인 학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처음 IGC를 조성할 때는 외국인 학생 비율을 40%로 잡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부와 인천경제청은 입주 후 7년간 운영비 등으로 552억원을 지원했다. 인천경제청은 지금도 대학들에 연간 10억원에 이르는 캠퍼스 사용료를 면제해 준다. 여기에 외국인 교수들의 전·월세 보증금까지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외국대학에 대한 관리 주체가 따로 없다는 점이다. 외국인 학생 비율에 대한 규정도 없다. 교육부의 관리·감독에서도 벗어나 있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2012년 외국대학 유치 및 설립 지원을 위해 IGC재단을 만들었다. 이 재단에 대한 인천시의 출연금만도 올해까지 모두 778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IGC재단은 캠퍼스나 교수아파트, 게스트하우스, 생활관 관리에 그친다. 국·시비 보조금 역시 이 재단을 거치지 않고 대학에 직접 지원한다. 이번 기회에 IGC재단에 입주 대학 관리·감독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물론 내국인 학생들이 글로벌캠퍼스에서 외국대학의 커리큘럼을 이수하는 의미를 과소평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지금처럼 내국인 학생 일색이어서는 글로벌캠퍼스의 취지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지역에서는 일정한 외국인 학생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면 페널티를 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원에는 의무와 책임이 따르게 마련이다. 명실상부한 인천글로벌캠퍼스를 위해서는 외국대학들의 자구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