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7천만원 주더니, 이젠 나가라고?” 할말 잃은 GC녹십자 직원들

2023. 11. 8. 17: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혈액제제와 백신 명가로 알려진 국내 상위 제약사 GC녹십자가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조직 슬림화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회사 내 인력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성과주의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상시 퇴직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잘 다니던 회사였는데 구조조정이라니…”

혈액제제와 백신 명가로 알려진 국내 상위 제약사 GC녹십자가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 기존 사업과 신약개발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실적이 좋지 않자 회사가 고강도의 조직 개편에 나선 것이다. 회사는 전체 조직의 10% 이상을 감축하고 상시 퇴직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가 최근 고강도의 조직 통폐합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현재 조직의 10%를 통폐합 시키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상시퇴직 제도를 시행한다. 상시퇴직 제도는 희망퇴직 형태로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퇴직을 신청하게 되면 20년 이상 재직자는 1년치 급여를, 20년차 미만일 경우 6개월치 급여를 주는 형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말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6900만원이다.

GC녹십자 본사 전경[GC녹십자 제공]

이번 구조조정은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에 나온 고육지책으로 볼 수 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조직 슬림화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회사 내 인력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성과주의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상시 퇴직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말했다.

GC녹십자의 최근 상황은 좋지 않다. 3분기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 4394억원, 영업이익 32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32.8% 감소했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1조2217억원으로 전년보다 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428억원으로 58.7%나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3분기까지 713억원에서 올 해는 적자로 전환했다.

이런 부진의 원인은 주요 제품들이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해서다.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수출이 막히며 매출이 급감했다.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IVIG-SN)’의 미 식품의약국(FDA) 허가는 당초 예상보다 계속 지연되고 있어 기약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GC녹십자는 다른 상위 제약사들과 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GC녹십자 외 상위 5개 제약사인 유한양행, 한미약품, 종근당, 대웅제약 등은 모두 실적이 증가세다.

녹십자 주가 추이[네이버 증권]

이에 제약사 시가총액 기준 순위도 바뀌었다. 원래 GC녹십자는 유한양행에 이어 매출, 시총 규모로는 2위에 해당했다. 하지만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주가는 10만원 초반에 머물고 있다. 지난 10월 말에는 처음으로 10만원대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8일 기준 시총은 1조2100억원 수준이다.

반면 지난 6일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 최대 1조73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종근당은 주가가 급등하며 GC녹십자를 역전했다. 종근당 주가는 8일 종가 기준 12만9500원으로 시총 규모는 1조6200억원까지 커졌다. 심지어 GC녹십자는 대웅제약(1조2490억원)보다 낮은 순위로 내려 앉았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제약사들의 평가는 얼마나 좋은 약을 꾸준히 내놓느냐에 있다”며 “GC녹십자의 경우 구조조정을 통해 조직을 개편하고 내년 사업에 사활을 걸어야 다시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