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에 견디는 난방기술 찾자’…LG전자, 알래스카에 히트펌프 연구소 설립

김상범 기자 2023. 11. 6. 22: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히트펌프 활용한 냉난방 방식
에너지 비용 급등에 유럽서 각광
LG전자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써마브이’. LG전자 제공

LG전자가 북미·유럽에서 최근 각광받는 고효율 냉난방 기기인 ‘히트펌프’ 연구를 위해 미국 알래스카주에 연구소를 세운다. 혹한의 날씨에서도 작동하는 난방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서다.

LG전자는 알래스카에 ‘LG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를 신설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최근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발족했다. 컨소시엄에는 극지방 연구가 활성화된 알래스카주 앵커리지대 및 페어뱅크스대가 참여한다.

히트펌프는 겨울철에는 실외의 열을 흡수해 실내로 들이고 여름철에는 실내 열을 흡수해 실외로 배출하는 냉난방 기기다. 소량의 에너지(전기)를 사용해 2.5~5배에 달하는 열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럽·미국에서 최근 액화천연가스(LNG)를 비롯한 에너지 비용이 급등하면서 히트펌프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히트펌프는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력이 줄고 순환하는 냉매량도 적어져 난방 성능을 높이기 쉽지 않다. LG전자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최고 수준의 난방 성능을 내는 히트펌프를 만들기 위해 혹한 환경에서 제품을 개발·검증할 수 있는 알래스카에 연구실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전자 관계자들이 지난달 31일 히트펌프 개발 컨소시엄 발족식에서 숀 파넬 앵커리지대 총장(가운데)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히트펌프연구소는 알래스카주 앵커리지대와 페어뱅크스대 캠퍼스 일부 공간에 구축된다. 연구소를 거실, 안방, 욕실, 주방 등을 갖춘 실제 주거공간처럼 꾸미고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히트펌프 온수기 등 제품을 설치해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눈, 비, 극저온 등 환경조건을 반영해 장시간 반복적인 테스트도 벌인다. LG전자는 이를 통해 히트펌프 제품의 성능·품질, 신뢰성 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히트펌프 등 냉난방 제품은 LG전자의 실적 가운데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해 LG전자의 유럽 지역 히트펌프 매출은 2021년 대비 1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LG전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3% 늘어난 9967억원에 달하는데 주로 시스템에어컨과 히트펌프처럼 계약 하나하나의 규모가 큰 기업 간 거래(B2B)에서 나온 성과다.

LG전자는 “열교환기, 인버터 등 히트펌프 기술을 진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며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를 시작으로 냉난방 솔루션 관련 글로벌 R&D 조직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