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두드리는, 우리의 파라다이스 ‘노란문’[양추리]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skyb1842@mkinternet.com) 2023. 10. 30. 1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상하게 마음이 몽글거린다.

세기말 학생운동의 쇠퇴 이후 영화 모임이 차츰 생기던 때에 만들어진 '노란문'은 인터넷도 OTT도 없이 아날로그 VHS 장비만으로 영화를 공부하겠다고 모여든 20대 젊은 영화광들의 모임이다.

그뿐만 아니라 30년 만에 재회한 노란문 멤버들과 함께 수다를 떠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어느 찬란했던 청춘의 그 시절, 누군가의 꿈이자 파라다이스였던 '노란문'을 열어보시길.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란문: 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 스틸. 사진|넷플릭스
이상하게 마음이 몽글거린다. 그 시절을 같이 보내지도 않았는데 왜 그들의 감정이 이해되는 건지. 어쩌면 우리도 무언가에 푹 빠져있던 적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지난 27일 공개된 넷플릭스 영화 ‘노란문: 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는 1990년대 초 시네필들의 공동체였던 ‘노란문 영화 연구소’의 회원들이 30년 만에 떠올리는 영화광 시대와 청년 봉준호의 첫 번째 단편 영화를 둘러싼 기억을 따라가는 다큐멘터리다.

지난해 초 영화 모임 ‘노란문’ 30주년을 기념하는 조촐한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모였다가 시작된 ‘노란문: 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는 지금은 세계적인 감독이 된 봉준호의 30년 전 영화 공부의 출발점과 이를 함께했던 이들의 열정 가득했던 20대 시절 이야기를 담았다.

세기말 학생운동의 쇠퇴 이후 영화 모임이 차츰 생기던 때에 만들어진 ‘노란문’은 인터넷도 OTT도 없이 아날로그 VHS 장비만으로 영화를 공부하겠다고 모여든 20대 젊은 영화광들의 모임이다.

영화는 ‘노란문 영화 연구소’의 멤버이자 다큐멘터리 영화 ‘미싱타는 여자들’로 호평을 받은 이혁래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봉준호 감독이 ‘대부’ 비디오를 돌려보며 직접 그린 명장면 콘티, 그의 미공개 첫 연출작인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룩킹 포 파라다이스(Looking for Paradise)와 이를 최초로 관람한 이들의 인터뷰 등을 담았다.

그뿐만 아니라 30년 만에 재회한 노란문 멤버들과 함께 수다를 떠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화상 회의와 인터뷰 등을 적절히 활용하며 눈과 귀를 뗄 수 없게 만든다. 옛날 영화 장면이나 그 시절의 음악 등을 함께 보고 듣노라면 그들과 함께 묘한 향수와 추억에 빠져들게 된다.

영화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아니 무언가에 푹 빠져봤고 이를 함께 나눈 친구들이 있다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갈 땐 묘한 여운이 남는다. 열정적으로 영화를 사랑했던 이들의 현재와 과거, 그 안에 녹아든 추억과 낭만이 몽글몽글 피어올라 마음을 두드린다.

어느 찬란했던 청춘의 그 시절, 누군가의 꿈이자 파라다이스였던 ‘노란문’을 열어보시길. 84분이란 러닝 타임 덕에 부담 없이 함께 즐길 수 있다.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

#‘양추리’는 양소영 추천 리스트의 줄임말입니다. 영화 드라마 예능 가리지 않고 추천해드립니다.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