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작가 신양란의 좌충우돌 해외여행 6] 루앙프라방에서의 씁쓸한 딱밧의 기억

여행작가 신양란 2023. 10. 28. 15: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루앙프라방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사원인 왓 시엥통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딱밧 의식. 줄지어 지나가는 스님들에게 불자들이 정성껏 먹을 것을 시주한다./신양란

[여행작가 신양란] 루앙프라방의 새벽은 스님들의 딱밧(우리식으로는 탁발) 행렬로 열린다. 주홍빛 가사를 입은 스님들이 줄지어 왓 시엥통을 출발하면, 거리는 아침 공양을 바치려는 사람들과 그것을 구경하려는 사람들로 술렁거린다.

독실한 불교 신자인 라오스 사람들이 불심을 다해 시주하는 모습과, 그 장면을 사진에 담으려고 분주히 움직이는 여행자들의 모습은 상당히 이국적이다. 라오스의 다른 도시에서도 딱밧은 이루어지겠지만, 루앙프라방처럼 대규모로 진행되지는 않는 것 같다. 하여간 루앙프라방을 여행하는 사람에게 새벽의 딱밧 행렬은 놓칠 수 없는 여행의 한 장면이 된다.

딱밧 행렬을 사진으로 남기려는 여행자들. 이런 장면은 루앙프라방을 찾은 여행자에게 잊을 수 없는 특별한 추억을 남긴다./신양란

처음 루앙프라방에 갔을 때는 알면서도 그것을 놓칠 수밖에 없었다. 피곤한 여행자로서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 힘겹기도 했지만, 숙소가 왓 시엥통에서 먼 곳에 있어 엄두가 안 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번째 루앙프라방 여행 때는 일부러 숙소를 왓 시엥통 앞에다 잡았다. 그것은 ‘반드시 딱밧 행렬을 보고야 말겠다.’는 의지의 표시였다.

그리고 다음 날, 기어이 시간에 맞춰 일어났다. 게스트 하우스의 발코니에 앉아서 딱밧 행렬을 내려다보는데, 아닌 게 아니라 장관이었다. 루앙프라방에 다시 온 보람이 있다고 나는 내심 만족했다.

그다음 날, 나는 발코니에서 보는 것으로는 만족할 수 없어 거리로 내려갔다. 그리고 내친김에 딱밧 행사에 참여해 보기로 했다. 나는 불교 신자는 아니지만, 스님들에게 아침 공양을 바치는 일을 해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공양거리를 팔러 다니는 아줌마에게 밥을 조금 사기로 했다.

그런데 내게는 잔돈이 없었다. 내가 큰돈을 만지작거리며 망설이자, 그녀는 거슬러주겠으니 밥을 사라고 권했다. 잔돈은 나중에 줄 테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나는 그 말을 믿고 큰돈을 건네준 다음, 밥을 받아서 스님들의 발우통에 정성껏 넣었다. 그런데 이 아줌마, 내 옆에 앉아서 사탕이며 과일을 듬뿍듬뿍 넣는 게 아닌가? 잠시 뒤에는 그녀의 지인으로 보이는 사람까지 함께 했는데, 나는 그녀들이 자신의 발복을 위해 시주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딱밧에 참여한 필자와 공양거리를 파는 여인들./신양란

딱밧 행렬이 다 지나간 다음에, 나는 그녀에게 거스름돈을 달라고 했다. 그랬더니 “사탕이랑 과일을 시주하지 않았느냐?”며, 거슬러줄 게 없다고 시치미를 딱 떼는 게 아닌가. 나는 어처구니가 없어서, “그건 내가 사지 않았다. 나하고는 상관없다. 거스름돈을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그녀는 사탕이랑 과일을 시주했으니 거슬러줄 게 없다는 말만 앵무새처럼 반복할 뿐이었다. 나중엔 화가 치밀었지만, 영어가 짧아 조목조목 따질 수 없었다.

내가 그런 꼴을 당하는 것을 숙소 발코니에서 내려다보고 있던 남편이 웃으며, 한 곳을 가리켰다. 거기엔 필경 나와 같은 일을 당한 게 분명한 서양인 커플이 실랑이를 벌이고 있었다. 그들이 왓 시엥통 담장 위에 놓은 밥 덩어리를 가리키며 옥신각신하는 걸 보니, 그들은 사탕과 과일 대신 새와 벌레들을 위한 밥으로 바가지를 쓴 모양이었다.

한없이 유순하고 선량한 라오스 사람들만 보다가 그런 장사꾼을 겪고 나니, 입맛이 씁쓸해졌다. 어쩌면 라오스에도 자본주의의 악착스러움이 스며들고 있는 증거인지도 모를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로부터 십오 년이 지난 지금 생각하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앙프라방이 그립다. 영악스러운 상인 몇 명이 있다고 하여 루앙프라방을 미워할 수는 없다. 루앙프라방은 아직도 순진무구한 사람들이 더 많은 청정 지대일 것만 같기 때문이다.

‘황금도시의 사원’이라는 의미를 갖는 왓 시엥통은 사원의 도시 루앙프라방에서도 가장 크고 중요한 사원이다./신양란
푸시 언덕에서 내려다본 루앙프라방 전경. 현재는 도시의 모습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평화로운 이 풍경이 그립다./신양란
루앙프라방의 특별한 볼거리인 몽족 야시장. 수공예품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어 매력적인 곳인데, 2007년까지는 이렇게 노천시장이었다. 현재는 시장 규모도 더 커지고 가게마다 지붕이 있는 조립식 천막으로 되어 있다./신양란
라오스 사원을 떠올리게 하는 지붕이 인상적인 루앙프라방 공항./신양란
루앙프라방을 여행하며 몇 차례 이용했던 저렴한 교통수단. 현재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번호판까지 갖춘 어엿한 ‘여행자의 발’이었다./신양란
실제로 굴러가는지가 궁금할 정도로 낡은 차였지만, 그래도 정성껏 손질하던 차주가 인상적이었다. 루앙프라방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재미있는 장면이다./신양란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