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전기·인터넷선 때문에 비닐하우스 작물 고사…수십억 피해"

한송학 기자 2023. 10. 27. 16: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고성군에서 수족관에 들어가는 수초를 재배하는 한 업체가 KT의 과실로 비닐하우스 시설이 망가져 수십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 업체는 당장 수초를 다시 재배하기 위해 시설 복구만이라도 KT 측에 요구하고 있지만 KT가 공정하지 못한 합의서를 요구하며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KT 측에서는 합의서는 비닐하우스 시설 설치 비용을 우선 지원해주겠다는 것이며 원인 규명을 해 보상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해업체 측 "처음에는 보상한다더니 차일피일 미뤄"
KT "합의하면 시설 우선 지원…원인 규명 필요"
인터넷 선이 비닐하우스 개폐기에 감겨 있다(수초 재배 업체 제공).

(고성=뉴스1) 한송학 기자 = 경남 고성군에서 수족관에 들어가는 수초를 재배하는 한 업체가 KT의 과실로 비닐하우스 시설이 망가져 수십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 업체는 당장 수초를 다시 재배하기 위해 시설 복구만이라도 KT 측에 요구하고 있지만 KT가 공정하지 못한 합의서를 요구하며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수초를 재배하는 A씨는 고성군 영오면에서 가로 25m, 세로 95m 규모의 비닐하우스를 임대해 관상용 수족관에 들어가는 '아누비아스나나', '부세파란드라' 수초를 재배하고 있다.

이들 수초는 시설재배이기 때문에 일주일 이상 비닐하우스를 찾아가지 않아도 자동으로 재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 8월 초 KT에 인터넷 설치를 의뢰했고 KT에서는 8월12일 인터넷 설치를 위해 전신주에서 비닐하우스로 들어가는 전기선과 인터넷 선을 묶어 비닐하우스 안으로 넣는 작업을 했다.

이후 8월 19일 이웃 주민으로부터 비닐하우스가 파손됐다는 연락을 받고 현장을 방문했는데 이미 수초들은 말라 죽어 있고 비닐하우스 시설도 망가진 상태였다.

KT에서 작업한 전기·인터넷 선이 비닐하우스 온도 조절을 위해 문을 여닫는 개폐기에 감기면서 전기선이 뽑혀 개폐기가 작동을 멈춘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여름철 '최고 62도'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수초들은 말라 죽고 비닐하우스 시설들은 망가지고 누수가 발생하는 피해를 봤다.

이후 KT측에 연락해 피해 부분은 보험처리를 하기로 하고 손해사정사가 피해 규모를 확인했다.

보험처리를 위해 농장 소유주 인감증명서와 통장 계좌번호 등을 가져가는 등 보상 절차가 진행됐다.

고열로 말라 죽은 수초들(수초 재배 업체 제공).

하지만 KT 측에서는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 KT 측 변호사는 보험처리가 아닌 합의를 하자며 합의서를 제시했다. 사고를 'KT 과실'로 인정하지 않고 시설 설치를 지원해준다는 내용이다.

합의서에는 향후 KT의 내부 검토후 결과에 따라 시설 지원 공사비용을 업체에 청구할 수 있다는 내용도 있어 업체측은 합의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A씨는 "국내에서 드물게 제가 이 수초를 재배하는 것으로 안다. 정식으로 수입도 어려운 수초이기 때문에 지난해 매출과 재배 규모 등을 보면 작물 피해는 60억원 정도 된다"며 "6000~7000만원 정도의 시설 부분만이라도 우선 해달라고 했는데 안 되고 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어 "처음에는 보험으로 보상을 해줄 것처럼 말했는데 갑자기 말을 바꿨다. 합의서에는 오히려 제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도 있다"고 말했다.

KT 측에서는 합의서는 비닐하우스 시설 설치 비용을 우선 지원해주겠다는 것이며 원인 규명을 해 보상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KT 관계자는 "회사로서는 고객의 주장과 이견이 있다. 초반에 직원들이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본사 차원에서 확인한 부분은 초반하고 다른 상황으로 원인을 좀 더 규명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합의서는 과실과 상관없이 우선 시설을 지원해주겠다는 것이며 저희가 과실이 아닐 수도 있어 향후 조치가 필요한 부분을 넣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ha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