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연기 막는 스마트 흡연부스…성동구청장 "흡연·비흡연 상생"

이재은 기자 2023. 10. 27. 10: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압설비·공기정화로 담배연기 제거
"성수동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에 최선"
[서울=뉴시스]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비흡연자라면 길을 걸을 때 간접흡연으로 숨을 참거나 눈살을 찌푸렸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간접흡연은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는 이슈 중 하나다. 늘어가는 금연구역으로 흡연자들이 설 곳 또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성동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갈등을 해결 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서울숲역 SM엔터테인먼트 사옥 근처에 스마트 흡연부스를 시범설치했다.

지난 26일 성동구 프레스투어를 통해 방문한 스마트 흡연 부스는 바로 앞에 있어도 담배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 밀폐형으로 제작된 흡연부스는 흡연자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면서 비흡연자들도 담배 연기 걱정 없이 지나갈 수 있다.

성동구가 흡연부스를 시범 설치한 곳은 사무실이 밀집한 지역으로 설치 전에는 한 해 평균 170건의 민원이 있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흡연부스를 만들어달라는 주민제안에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상생을 고민했다"며 "직원들과 고민 끝에 탄생한 것이 바로 스마트 흡연부스"라고 설명했다.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는 밀폐형으로 제작된데다 음압설비로 담배연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설치비용은 약 7500만원이 소요됐다. 일반적인 흡연부스 설치 비용은 3000만원으로 2.5배 정도 비싼 편이다.

밀폐형 구조라 하면 흔히 연기가 가득한 실내 흡연실을 상상하지만, 스마트 흡연부스는 공기정화 설비를 통해 내부 공기가 계속해서 순환되면서 담배연기와 유해물질이 제거된다.

정화 필터를 거쳐 순환되는 공기는 흡연자가 부스 내부에서 머무를 때 옷에 냄새가 배지 않도록 해주며, 부스 내부에는 특수 도료를 도포해 니코틴이나 타르가 붙지 않도록 처리했다.

재떨이 역시 새롭게 시도한 설비다. 재떨이에 담배꽁초를 버리면 내부에서 자동소화 및 파쇄과정을 거쳐 쌓인다. 이렇게 모인 담뱃재와 꽁초는 독성 제거 후 열가소성 목재로 가공해 머그컵, 도마 등 친환경 목재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 구청장은 "스마트 흡연부스를 설치한 후 민원이 한 건도 없다. 요즘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갈등 문제가 큰데 갈등 해소에 굉장한 역할을 했다"며 "종로, 중구, 강남 등 도심에도 꼭 필요한 시설물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말까지 스마트 흡연부스를 성수동과 성동구청 2곳에 추가 설치하고, 앞으로 지식산업센터 등을 대상으로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정원오 성동구청장은 26일 서울시 출입기자를 초청, 프레스투어를 개최했다.

아울러 붉은 벽돌 건물이 즐비한 성수동 골목길도 눈에 띄었다. 성수동은 서울시에서 손 꼽히는 '핫플레이스'로 최근에는 중국인, 일본인 등 외국 관광객도 몰려들고 있다.

거리가 유명해지면 뒤따르는 것이 젠트리피케이션(임대료 상승으로 임차인이 내몰리는 현상)이다.

2014년 성수동도 도시재생사업지로 선정되고 젊은이들이 모여들었다. 구는 2015년부터 서울숲길과 상원길 일대에 전국 최초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정책을 펼쳤다. 임대인을 설득해 임대료 안정을 위한 협약을 맺고 프랜차이즈와 대기업 입점을 막았다.

붉은벽돌 지원사업으로 거리에 특색을 줬고, 독창적인 가게들도 생겨났다.

성동구는 성수역 및 연무장길을 비롯한 성수동 전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조짐이 보여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 2.0'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8월 성수동 일대 지역상권 보호를 위해 기존 서울숲길과 상원길 일대 지정했던 지속가능발전구역을 성수동 전역으로 확대했다. 성동구에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임대료의 편법적 인상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려면 중앙정부와 국회에서 법제화가 이뤄져야 한다. 성동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지방정부협의회' 등 뜻을 같이하는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환산보증금 기준 폐지 등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 공론화에 나설 계획이다.

정 구청장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허점을 이용한 편법적인 임대료 인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다음달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3법 개정 촉구 공동성명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