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피소 700곳 사실상 ‘무용지물’…표지판 없어 어디 있는지도 몰라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3. 10. 27. 09: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명적 화학사고 대피소 1500곳
안내 표지판 설치율은 고작 55%
세종시 설치 ‘0’…서울, 20%미만
지난 9월 9일 전북 군산시 소룡동 OCI공장에서 발생한 가스 누출 사고. [사진 출처=전북소방본부]
전국 지자체가 일산화탄소 누출 등 치명적인 화학사고에 대비해 1500곳이 넘는 대피소를 설치했지만 위치를 안내하는 표지판 설치율에 절반 수준에 불과해 사고 발생시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화학물질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554곳의 화학사고 대피소중 안내 문구나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867곳(55.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내 28곳의 대피소중 표지판이 있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고, 인천은 33곳중 6곳(18.2%)만 설치됐다. 서울은 123곳이나 되는 대피소중 불과 24곳(19.4%)만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대전(28.1%), 광주(33.3%), 전남(36.6%), 경북(36.9%) 역시 설치율이 4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인천은 2020년 9명의 사상자를 낸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화재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공장내에서 쓰인 아염소산나트륨의 폭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사고가 난 인천 남동구의 대피소 7곳중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지방자치단체중 설치율이 100%인 곳은 울산(45곳), 제주(12곳)뿐이었다. 충북(92.4%), 대구(89.4%)도 10곳중 9곳이 설치된 수준이었다.

<자료=이주환 의원실.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 대피소는 관련법에 따라 지정하고 있으며, 대피 인원은 1인당 0.825㎡를 적용중이다. 그러나 실제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대피소 위치 파악이 쉽지 않아 이용빈도는 미미한 수준이다. 화학물질안전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 9월까지 화학사고가 발생한 뒤 대피소로 이동한 사례는 지난 9월 전북 군산 OCI 공장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돼 주민 23명이 긴급대피한 1건뿐이다.

현재 대피소 안내 표지판 의무 설치 내용을 담은 법안은 국회에 계류중이다. 이주환 의원은 “대피소는 사고로부터 주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보루이지만 국민들이 알지 못한다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며 “화학사고 발생 위험으로부터 주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대피소 위치를 고지하는 등 지자체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