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치우고 "주차 금지"…'이태원 참사' 그 골목 가보니[르포]

김지성 기자, 천현정 기자 2023. 10. 25.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0월29일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 골목길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준비가 한창이었다.

이태원역에서 약 200m 거리에 있는 큰옷가게 골목길은 폭이 4m인 클럽 골목길보다 1m쯤 폭이 넓었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오는 27~31일 핼러윈 기간에 홍대, 이태원, 강남역 등지 이면도로 16 곳을 고밀도 위험 골목길로 선정하고 안전대책을 시행한다.

이 가운데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 골목길 5곳은 모두 A등급에 해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역 1번출구에서 70m쯤 떨어진 가죽가게 골목의 일부 가게들은 유동 인구가 많아지는 영업 시간이 되면 가게 바깥의 적재물을 치우거나 자체 안내문(오른쪽) 등을 통해 보행 불편 최소화를 꾀하고 있다. /사진=천현정 기자

지난해 10월29일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 골목길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준비가 한창이었다. 24일 머니투데이 취재진은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이태원역 인근 클럽거리를 찾았다.

이태원역에서 100m쯤 떨어진 클럽 골목길은 성인 3명이 지나가면 가득 찰 정도로 폭이 좁았다. 골목길 양옆 건물에 에어컨 실외기가 돌출돼 있어 통행에 방해가 됐다. 몇몇 실외기는 지면으로부터 160㎝ 정도 위에 설치돼 자칫 머리를 부딪힐 수 있는 높이였다.

이 골목길 입구에서 전자담배 가게를 운영하는 상인 A씨는 "평일에는 유동 인구가 많지 않고 가끔 오토바이나 공사 차량이 지나간다"며 "다만 이 골목에 클럽이 있어 주말 저녁이 되면 사람이 몰려 순식간에 들어차곤 한다"고 말했다.

골목을 지나던 시민 이보아씨(21)는 "이태원에 자주 오는데 주말에는 이 골목에 사람이 가득한 편"이라며 "시민들이 골목 양쪽 벽으로 붙어야 간신히 차가 한 대 지나갈 정도라 이 길을 지나면서 위험하다고 느낀 적도 있다"고 했다.

이태원역에서 100m쯤 떨어진 폭 4m의 클럽 골목길(왼쪽). 성인 3명이 지나가면 가득 찰 정도로 폭이 좁다. 이 골목길 상단에는 에어컨 실외기가 돌출돼 있어 통행에 방해가 됐다. /사진=천현정 기자

이태원역에서 약 200m 거리에 있는 큰옷가게 골목길은 폭이 4m인 클럽 골목길보다 1m쯤 폭이 넓었다. 유동 인구가 많은 오후 4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는 '차 없는 거리'로 지정돼 있어 보행자 통행이 비교적 원활했다.

이 골목길 인근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공인중개사 B씨는 "낮에는 공사 트럭이나 오토바이가 다니고 야간에는 차가 없는 거리"라며 "이태원 참사 이후 사람이 급속도로 몰린 적은 없다"고 말했다.

고밀도 위험 골목길 주변 상인들은 좁은 골목길로 통하는 출입구를 통제하고 대로 방향으로 우회 통로를 안내하는 등 골목에 사람이 몰리지 않도록 협조하는 모습이었다.

이태원역 1번출구에서 70m쯤 떨어진 가죽가게 골목에서 양식점을 운영하는 상인 C씨는 골목길로 이어지는 가게 계단을 폐쇄하고 대로 쪽 출입구로 우회하도록 안내판을 설치했다. C씨는 "골목길 쪽 출입구는 비상구로만 쓰고 메인 거리의 출입구를 주요 출입구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골목길에서 만둣가게를 운영하는 상인 D씨는 "구청에서 테이블 등 불필요한 물건을 쌓아 골목이 좁아지지 않게 신경 써달라고 주기적으로 안내하러 온다"며 "재료 손질을 위해 골목에 테이블을 펼쳐놨지만 저녁 오픈 시간 전에 가게에 들여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태원역 1번출구에서 70m쯤 떨어진 가죽가게 골목의 일부 가게들이 비좁은 골목 대신 골목 바깥의 거리로 주요 출입문을 안내하고 있다. /사진=천현정 기자

지난해 참사가 발생한 해밀톤호텔 옆 골목길은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기억과 안전의 길' 공사로 통행이 제한되고 있었다. 골목에는 공사 관계 차량이 주차돼 있었다.

이태원 주민 김성갑씨(70)는 "평일에는 골목길에 유동 인구가 적어 걱정되는 수준은 아니다"며 "금요일 저녁이나 주말에 유동 인구가 확 늘어 일대 골목마다 사람이 들어차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오는 27~31일 핼러윈 기간에 홍대, 이태원, 강남역 등지 이면도로 16 곳을 고밀도 위험 골목길로 선정하고 안전대책을 시행한다. 이 지역 지형과 경사로, 도로 폭에 따라 A(심각·밀집도 1㎡당 5명), B(경계·1㎡당 4명), C(주의·1㎡당 3명) 총 3개 등급으로 나눠 대응한다.

이 가운데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 골목길 5곳은 모두 A등급에 해당했다. 아울러 용산구청은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닷새를 다중인파 밀집 기간으로 지정하고 안전사고 예방에 나선다.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전에 차로와 보행로를 나눠 군중 분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김지성 기자 sorry@mt.co.kr 천현정 기자 1000chyun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