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단에 수산물 확대 미미…급식업체, 정부·고객사 사이 '고심'

유예림 기자 2023. 10. 22. 09: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8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해양 방류가 시작되면서 당정, 수협중앙회, 급식업계가 수산물 메뉴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지 두 달 가까이 돼가지만, 급식업계는 메뉴 확대·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급식업계가 지난 8월30일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수협-급식업체 간 상생협력 협약'을 맺은 뒤로 도입한 수산물 활용 급식 메뉴는 5% 이내로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해 소비위축을 겪고 있는 수산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13일부터 한달동안 매주 수요일을 '우리 수산물 먹는날'로 지정,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구내식당에서 직원들이 수산물을 배식하고 있다. 2023.09.13.

지난 8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해양 방류가 시작되면서 당정, 수협중앙회, 급식업계가 수산물 메뉴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지 두 달 가까이 돼가지만, 급식업계는 메뉴 확대·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급식업계가 지난 8월30일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수협-급식업체 간 상생협력 협약'을 맺은 뒤로 도입한 수산물 활용 급식 메뉴는 5% 이내로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초 단체 급식 사업장에서 수산물 메뉴는 10% 내외로 적은 편인 데다가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식단을 짜는 탓에 급식업체에 부담을 주는 협약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식업체는 고객사와 소비자, 정부와 여론 등의 사이에서 함부로 수산물 식단을 늘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급식업체 관계자는 "수산물 메뉴 확대를 요청한 고객사는 일부 소수에 그친다"며 "고객사가 메뉴 결정권을 전적으로 갖고 있어서 급식사 마음대로 수산물이 들어간 식단을 짤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객사의 만족도, 평가 등을 통해 계약을 연장하기 때문에 고객사의 요청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고객사가 수산물 식단을 요청하더라도 실질적인 다량 소비로 이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다. 업체 관계자는 "고객사가 최근 요청한 수산물 메뉴를 보면 국탕찌개류같이 국물 맛을 내기 위해 소량으로 들어가는 식단 위주였다"고 말했다. 또, 업체는 급식 단가를 고려해 그동안 일본산을 제외한 수입 냉동 해산물을 취급해 와 좀 더 비싼 국산 수산물로 바꾸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고객사가 먼저 요청할 경우 수산물 확대가 쉽지만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지난 8월 현대그린푸드가 HD현대와 업무 협약을 맺고 전복, 우럭을 연말까지 약 100t 소비하기로 한 것도 HD현대가 먼저 요청했기에 가능했다.

애초 단체 급식 사업장에선 통상 육류 선호도가 높아 수산물 메뉴의 비중은 10% 안팎에 그친다. 업체 관계자는 "빠른 시간 대량의 메뉴를 만들어야 하므로 보관과 손질이 수월하지 않은 수산물 메뉴는 뒷순위로 밀리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급식업계는 정부의 수산물 소비 기조에 동참하기 위해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수산물 메뉴를 개발해도 이 사실을 알리는 게 고민된다는 점도 지적했다. 수산물 식단을 꺼리는 고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 8월30일 삼성웰스토리, CJ프레시웨이, 풀무원푸드앤컬처, 아워홈, 신세계푸드 등 국내 주요 급식업체는 국민의힘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 해양수산부, 수협중앙회와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수협-급식업체 간 상생협력 협약'을 맺은 바 있다. 협약에는 업계가 수산물이 식자재로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유예림 기자 yesrim@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