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스타레일 경류 "뉴비에게 정말 좋은 메인 딜러"

문원빈 기자 2023. 10. 12.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대 벗으면 성능, 외모 최고…운용 난이도 예상 외로 쉬운 편

"안대만 없었으면 정말 고민 없이 뽑았을 거야"

호요버스 '붕괴 스타레일' 신규 캐릭터 '경류'는 외모적으로도, 성능적으로도 만족스러웠다. 딱 한 가지. 안대만 없었으면 완벽했을 것이다. 예쁜 외모를 안대로 가린다. 안대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없으니까 아름다운 외모가 가려져 너무 아쉬웠다.

운명의 길 파멸, 얼음 속성 캐릭터인 경류는 속성에 어울리는 푸른빛 색상으로 디자인됐다. 긴 머리와 날카로운 외모가 인상적이다. 카프카는 SF 판타지 스타일의 우아하면서 날카로운 스타일이라면 경류는 무협 소설 속 절세 미인 스타일이다. 세계관 특성상 간혹 서글픈 눈을 보여주는데 그 모습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기자는 경류를 뽑지 못했다. 정확히는 실패했다. 열심히 모아둔 성옥을 모두 사용했지만 원하지 않는 캐릭터가 나왔다. 결국 한 번에 1단계 돌파까지 성공하며 자랑 공세를 펼친 지인 계정으로 체험했다.

직접 다뤄보니 세계관 최강 검사 위용에 걸맞은 성능을 자랑했다. 같은 파멸 딜러 캐릭터인 '단항·음월'보다 화력이 미세하게 낮은 편이지만 사전 작업이 단순하고 명함 효율도 뛰어나다. 스킬 설명이 복잡해서 운용 난이도가 어려울까 걱정하는 유저가 많이 보였는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게다가 최고의 화력 서포터인 브로냐와 찰떡궁합이다. 브로냐를 포함한 화합 캐릭터 2~3개를 조합하면 적이 공격하기 전에 콘텐츠를 성공하는 화끈한 전투도 만끽할 수 있다.

경류는 마땅한 메인 딜러가 없는 유저에게 좋은 선택지다. 성능 준수한데 외모까지 완벽하면 뽑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은가. 다만 이미 메인 딜러인 제레, 단항·음월, 카프카, 블레이드, 경원 등으로 2개의 파티를 구성한 유저는 패스하고 성옥을 아껴는 편이 좋다. 디자인 취향 영역이다.

기자는 성옥 6900개를 이미 소모했지만 고민 중이다. 안대 온·오프 기능 절실히 기원 중이다. 안대로 가리는 모습을 계속 보고 있으니 정말 마음에 들지 않는다. 

지금까지 픽업 캐릭터는 전부 뽑았지만 제레부터 복각이 시작되는 만큼 재출시까지 고민해도 괜찮지 않을까. 게다가 다음 픽업 캐릭터가 '토파즈'다. 오랜만에 등장하는 화염 속성 캐릭터라 무조건 뽑을 계획이다. 경류를 향한 고민이 더 깊어지고 있다.

■ 경류 관련 Q&A



- 붕괴: 스타레일 '경류' 은하탐구생활

Q. 경류는 어떤 캐릭터인가? 



얼음 속성 메인 딜러



선주 나부 구름 위 5전사 중 한 명으로 세계관 최강 검사다. 세계관 설정을 반영한 것인지 파티원 보호, 회복 등 유틸적인 능력은 전혀 없으며 오로지 화력만 담당하는 메인 딜러 포지션이다.



메커니즘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투 스킬과 필살기 사용 시 '삭망'이라는 효과를 얻는다. 삭망 효과를 2중첩까지 쌓으면 안대를 벗으며 전백 상태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비술로 삭망 1중첩을 쌓은 후 전투 스킬로 2중첩을 만드는 방식이 효율적이다. 



전백 상태에서는 치명타 확률 50% 증가해 폭발적인 화력을 발산한다. 다만 전백 상태에서는 전투 스킬 사용 시 삭망 스택을 소모한다. 전투 스킬로 삭망 스택을 모두 소모하면 전백 상태가 해제된다.



삭망 효과 2개를 소모해 적을 괴멸시키던가 필살기로 전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경류 운용의 핵심이다. 세팅 수준이 높은 유저들 사이에서는 보존과 풍요 캐릭터를 모두 제외하고 3화합, 경류로 조합해 0턴 클리어를 노리는 방식도 자주 사용된다.



 



Q. 음월과 비교하면?



자체 화력은 조금 밀려도 시너지 고려하면 비슷한 수준



기자가 1돌파 캐릭터로 체험해서 다를 수 있겠지만 음월에 비해 화력은 낮은 편이었다. 그렇다고 경류가 음월보다 한참 약한 것은 아니다. 미세한 차이다.



다만 이들의 화력 차이는 서포터에게 영향을 미친다. 경류는 브로냐의 성능을 극한까지 끌어낼 수 있는 딜러다. 반면 음월에게 최고의 서포터는 어공이다. 어공과 브로냐를 비교하면 화력 상승 성능에서 브로냐가 우위다. 조합으로 음월과 경류의 화력이 뒤집힐 수 있다는 의미다.



최대 화력 발산 조건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경류의 최대 화력 발산 조건 달성 난이도가 음월 대비 쉬운 편이다. 정리하자면 자체 화력은 음월 대비 낮지만 운용 난이도와 서포터 시너지는 경류가 우월하다. 



Q. 경류의 단점은?



안대 외에 특별한 단점이 보이지 않는다



안대. 오로지 안대만 제외하면 완벽하다. 붕괴 스타레일에서는 파티 유지력을 보통 보존, 풍요 캐릭터가 일임하기 때문에 딜러 캐릭터들은 화력으로 평가된다. 앞서 말했듯이 경류의 화력은 현존 최강으로 평가되는 음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안대라는 단점이 치명적이라 그렇지 그 외 단점은 특별히 찾아볼 수 없다.



 



Q. 그렇다면 경류를 꼭 뽑아야 하는가?



5성 딜러를 보유하지 않은 유저에게 적극 추천한다



5성 딜러를 보유하지 않은 신규 유저 혹은 초보자들에게 추천한다. 이미 5성 메인 딜러를 2개의 파티에 모두 넣은 상황이라면 디자인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혹은 최고의 화력 서포터인 브로냐를 제대로 사용하고 싶은 유저도 경류를 노려볼 만하다.



남성 캐릭터보다 여성 캐릭터를 선호하는 유저의 경우 미래시를 고려해야 한다. 경류를 제외한 여성 5성 메인 딜러 캐릭터로는 제레, 카프카가 있다. 다음 픽업 캐릭터가 화염 속성, 수렵 캐릭터인 토파즈이며 제레가 복각한다. 경류, 토파즈, 제레 중에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고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Q. 가성비 성혼 돌파 구간은?



경류는 명함으로도 좋은 성능을 자랑한다



추가 과금 추천 루트는 명함 → 전용 광추 → 1돌파 순서다



명함으로도 충분하다. 명함을 확보하고 성혼 돌파를 노릴 계획이라면 전용 광추부터 뽑는 것을 추천한다. 가성비 성혼 돌파 구간은 1돌파 '천관을 범한 달'과 2돌파 '칠성을 덮은 삭월의 밤'이다. 



1돌파 시 필살기를 발동하거나 전투 스킬을 강화하면 경류의 치명타 피해량이 24%로 증가한다. 적을 하나만 공격하면 해당 목표에게 경류 공격력 100%만큼의 얼음 속성 피해를 추가로 가하기 때문에 화력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다.



2돌파도 마찬가지다 필살기 발동이라는 특수 조건이 붙지만 다음 강화 전투 스킬 피해량이 80% 증가해 적을 빠르게 섬멸할 수 있다.



Q. 전용 광추 꼭 필요한가?



무리해서 뽑지 않아도 괜찮다



1순위: 이 몸이 검이니(5성 전용 광추)



2순위: 대체할 수 없는 것(5성 클라라 전용 광추)



3순위: 어떤 에이언즈의 몰락(5성 시뮬레이션 우주 광추)



4순위: 푸른하늘, 비밀 맹세(4성 광추)



경류 자체가 강한 편이라 무조건 전용 광추 '이 몸이 검이니'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전용 광추가 있으면 화력이 대폭 상승한다. 단순 화력 상승일 뿐 치명타 확률 등 핵심 능력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광추를 착용해도 상관없다.



전용 광추 대신 고려할 만한 5성 광추로는 클라라 전용 광추 '대체할 수 없는 것'과 시뮬레이션 우주 광추 '어떤 에이언즈의 몰락'이다. 4성 광추로는 '푸른하늘', '비밀 맹세', '멍 산책 시간'에서 고르자.



 



Q. 행적 강화 순서는?



전투 스킬과 특성 먼저 강화한다



전투 스킬 = 특성 → 필살기 → 일반 공격 → 비술



전투 스킬, 필살기, 특성을 일반 공격을 취향에 따라 선택한다. 전투 스킬, 특성, 필살기, 일반 공격, 비술 순서로 추천한다. 



Q. 경류에게 효율적인 유물 세트는?



혹한 밀림의 사냥꾼 좋지만 파밍 효율도 고려할 것



1순위: 혹한 밀림의 사냥꾼



2순위: 들이삭과 동행하는 거너



초보자 전용: 들이삭과 동행하는 거너



주, 서브 옵션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1순위: 뭇별 경기장



2순위: 회전을 멈춘 살소토



초보자 전용: 우주 봉인 정거장



'혹한 밀림의 사냥꾼' 4세트와 '들이삭과 동행하는 거너' 4세트 외에 특별한 선택지가 없다. 이 때 성능적으로는 혹한의 밀림 사냥꾼이 더 좋지만 파밍 효율이 최악이다. 신규 유저와 초보자는 파밍 효율이 좋은 들이삭과 동행하는 거너가 어울린다. 



연결 매듭과 차원 구체는 '뭇별 경기장'을 추천한다. 뭇별 경기장에서 쓸만한 옵션을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회전을 멈춘 살소토'를 임시 사용해도 좋다. 다만 둘의 파밍 효율이 그리 좋지 않은 편이다. 방어구와 마찬가지로 신규 유저와 초보자에게는 '우주 봉인 정거장'이 우선이다.



 



Q. 추천 유물 옵션은?



얼음 속성 피해가 공격력 %보다 좋긴 하지만 꼭 챙길 필요 없다



치명타 피해량(상의), 속도(신발), 얼음 속성 피해 증가(차원 구체), 공격력 % 또는 에너지 회복 효율(연결 매듭)



치명타 확률 최대 50%, 속도 134 이상 확보하자



치명타 확률, 속도, 공격력 %, 치명타 피해량 



주 옵션은 치명타 피해량, 속도, 얼음 속성 피해 증가, 공격력 %, 에너지 회복 효율 옵션을 기본으로 둔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속도와 치명타 확률이다. 경류는 전백 상태에서 치명타 확률이 50% 상승한다. 자체 치명타 확률을 50%까지 확보하면 전백 상태에서 100% 치명타 확률을 노릴 수 있다.



속도는 반드시 134 이상 확보해야 한다. 경류는 전백 상태에서 최대 화력을 발산한다. 1턴 2행동 안에 전백 상태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브로냐와 함께 사용할 경우 경류 속도를 137 이상, 브로냐 속도를 134 정도로 맞추면 이상적이다.



정운까지 추가할 계획이라면 정운의 속도를 경류보다 높게 맞춰주면 세팅을 완성시킬 수 있다. 속도 세팅이 완성되면 에너지 회복 효율 효과 없이 사이클을 완벽하게 운용할 수 있으므로 연결 매듭 에너지 회복 효율 효과를 공격력 %로 전환시켜도 무관하다.



Q. 추천 캐릭터 조합은?



브로냐를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어



화합 1순위: 브로냐, 보존 1순위: 게파드, 풍요 1순위: 나찰



추천 조합 ①: 경류, 브로냐, 정운(페라), 나찰



추천 조합 ②: 경류, 브로냐(정운), 게파드, 나찰



추천 조합 ③: 경류, 페라, 게파드(부현), 링스



추천 조합 ④: 경류, 페라, 은랑, 링스



초보자 전용: 경류, Mar. 7th, 나타샤, 페라



메인 딜러이므로 화력을 끌어올리는 화합 캐릭터와 파티 유지력을 보좌하는 보존, 풍요 캐릭터만 고려하면 된다. 풍요 캐릭터로는 현존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나찰이 1순위다. 경류가 빠른 속도로 공격 기회를 많이 확보하는 운용인 만큼 나찰과 정말 잘 어울린다. 나찰 외에 링스, 백로, 나타샤 어느 것을 사용해도 비슷하다.



보존 캐릭터는 아군 HP를 소모시키는 경류의 디메리트를 보호막으로 보완하는 게파드가 좋다. 부현도 꽤나 잘 어울린다. 다만 나찰이 있을 경우 보존 캐릭터의 보호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정운이나 페라와 같은 화합 캐릭터를 더 추가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가장 중요한 화합 캐릭터에서는 브로냐가 1순위다. 경류는 전투 스킬 포인트를 많이 소모하는 브로냐에게 최적의 딜러다. 브로냐와 경류를 조합하면 적을 무차별 난타해 호쾌한 전투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는 페라, 정운, 은랑 정도를 파트너로 고려할 수 있다.



그렇다면 경류를 사용하기 위해선 브로냐가 필수일까. 먼저 붕괴 스타레일의 개념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붕괴 스타레일에서 필수 캐릭터는 없다. 불균형적인 파티 조합만 아니라면 어떠한 캐릭터로든 모든 콘텐츠를 소화할 수 있다.



경류의 성능은 매우 높은 편이다. 콘텐츠 클리어 여부가 아닌 콘텐츠를 얼마나 빨리 성공하느냐를 거론할 정도다. 콘텐츠에서 요구하는 캐릭터 성능이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경류와 브로냐 조합이 130으로 올라가는 것이지 부족한 요구치를 브로냐로 100까지 올리는 의미가 아니다. 다시 말해 브로냐는 경류의 잠재력을 대폭 끌어올리는 서포터일 뿐이지 필수 조건이 아니다.



moon@gametoc.co.kr

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