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 마스크에 혹시 환경호르몬이?...환절기 마스크 사용 증가에 조심!

안병준 기자(anbuju@mk.co.kr) 2023. 10. 12. 11: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부 마스크에서 환경호르몬 기준치 초과
프탈레이트계가소제, 납 등 검출
피부, 눈 등 자극 유발…간손상 발암성도
당장 사용중지하고 업체에 환불 요구해야
공기중 미노출시 KF마스크 유통기한 3년
밀봉 포장안된 경우 정전기 효과 떨어져
쌀쌀한 가을 날씨를 보인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아침 저녁으로 일교차가 크고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마스크 사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무심코 집에 남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환경호르몬 검출 여부와 유통기한을 살펴봐야 한다.

12일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보센터 리콜정보에 따르면, 방한용·패션용·스포츠용 마스크 중 일부 제품에서 환경호르몬과 납 등이 기준치를 수백 배 초과해 검출됐다.

해당 업체는 일상생활연구소, 써밋코퍼레이션, 엔투셀, 수이스포츠, 더조은주식회사, 이호토디자인이며 이들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과 납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이에 따라 이들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사용중지와 함께 업체에 교환, 환불 등 조치를 할 것을 명령했다.

일상생활연구소가 판매한 일상마스크는 겉감 검정색 원단에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가 기준치(5 mg/kg 이하)보다 4.5배 초과한 22.8 mg/kg이 검출됐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노출될 경우 생식독성 간 손상, 발암성 등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상생활연구소가 판매한 일상마스크.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더조은주식회사의 알룩패션마스크(대형) 겉감 흰색 원단에서도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가 기준치보다 1.4배 초과했다.

써밋코퍼레이션이 판매한 SNBRO멜란지 UV차단 냉감 메쉬 쿨마스크는 겉배색전면 흰색 메쉬원단에서 형광이 검출됐다. 마스크에는 형광이 나타나서는 안되며, 형광이 피부에 지속적으로 닿게되면 피부질환, 장염, 암 등을 유발하며 섭취 시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주)엔투셀이 판매한 브레스 UV 자외선 차단 스포츠 쿨마스크에서는 검정-겉감 메쉬와 검정-글씨 프린트 원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가 각각 기준치(5 mg/kg 이하)를 1.2, 2 배 초과했다. 다이메틸포름아미드에 노출될 경우 피부, 눈, 점막의 자극을 유발하며 오랜 시간 노출된 경우 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수이스포츠의 스포츠 마스크 B형 M B-7 화이트는 귀끈조절스냅 흰색 합성수지에서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0.1 % 이하)를 470배 넘어섰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노출될 경우 간, 신장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수이스포츠의 스포츠 마스크 B형 M B-7 화이트.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이호토디자인의 M3 마스크 어드벤스루즈는 끈길이조절탭인 검정-플라스틱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0.1 % 이하)와 납(100 mg/kg 이하)이 기준치보다 각각 210배, 54배 초과했다. 납에 노출될 경우 피부염, 각막염, 중추신경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의 유통기한과 포장상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정부가 인정한 의약외품인 KF마스크에만 유통기한이 3년으로 정해져 있다. 이는 마스크에 필터 역할을 하는 부직포의 효율이 시간이 지날 수록 떨어지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KF마스크의 유통기한이 지나면 필터의 효율이 1.5%p(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밀봉 상태로 마스크가 포장되어 있을 경우에만 유통기한이 유효하며 공기중에 노출됐을 경우에는 마스크 기능이 떨어져 유통기한은 의미를 잃게 된다. 또한 온라인으로 대량 구매시 유통기한이 적혀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판매자에게 반드시 문의하는게 좋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1회용 마스크의 경우 가능한 재사용을 하지 않고 공기 중 노출된 마스크는 쓰지 않는 게 좋다”면서 “부직포가 없는 면 마스크의 경우 세척을 잘해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