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석 화가’ 정학교의 명품 병풍 경매에…칸옥션 26일 경매

김석 2023. 10. 12. 10: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양이 특이한 돌을 뜻하는 괴석(怪石) 그림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조선 말기 서화가 몽인 정학교(丁學敎, 1832~1914)의 10폭짜리 병풍이 경매에 나왔습니다.

고미술품 경매회사 칸옥션은 오는 26일(목) 진행하는 미술품 경매에 몽인 정학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정학교의 1906년 작 <괴석사군자십곡병(怪石四君子十曲屛)> 이 출품됐다고 밝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양이 특이한 돌을 뜻하는 괴석(怪石) 그림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조선 말기 서화가 몽인 정학교(丁學敎, 1832~1914)의 10폭짜리 병풍이 경매에 나왔습니다.

고미술품 경매회사 칸옥션은 오는 26일(목) 진행하는 미술품 경매에 몽인 정학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정학교의 1906년 작 <괴석사군자십곡병(怪石四君子十曲屛)>이 출품됐다고 밝혔습니다. 추정가는 5천만 원에서 1억 원입니다.

이 작품은 10폭의 화면에 다양한 괴석을 그린 병풍으로, 다양한 형태의 괴석과 함께 대나무, 매화, 소나무, 난초 등 사군자를 함께 배치해 변화를 줬습니다.

명암과 질감, 양감을 모두 살려 괴석의 입체감을 부각하고, 직선을 많이 써 묘사한 괴석에 부드러운 선과 옅은 채색을 가미해 표현한 매화와 난초의 모습은 긴장감 있는 화면에 생동감과 유연함을 더해줍니다.

칸옥션은 “문인화풍의 간결한 묘사와 구도적 예술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괴석 화가’로서의 정학교의 명성을 확인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선 말기에서 근대기까지 활동한 대표적인 초상화가 석지 채용신(蔡龍臣, 1850~1941)의 <문관초상(文官肖像)>도 경매에 출품됐습니다. 추정가는 5천만 원에서 8천만 원입니다.

이 작품은 관복을 입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는 관리의 모습을 그린 전신 초상화로, 오른쪽 가운데 적힌 글씨를 통해 1925년에 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얼굴에 음영을 줘 입체감을 줬고, 잔주름, 요철, 수염 등을 세밀하게 표현했습니다. 특히 관복의 전체적인 입체감을 살린 것은 전통 초상화에서는 볼 수 없는 근대적 초상화의 특징입니다.

호패에 새겨진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주인공이 누군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초상화에 등장하는 장신구나 기물을 볼 때 지위나 재력, 학식이 있는 인물로 추정됩니다.

칸옥션은 “채용신이 ‘채석강도화소’를 운영하며 활발하게 초상화를 제작하던 시기의 작품으로, 채용신 초상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생을 그린 10폭짜리 병풍 <충무공평생도십곡병(忠武公平生圖十曲屛)도 눈길을 끕니다.

금추 이남호(1908~2001)가 그린 이 병풍에는 어린 시절 병정놀이하는 모습부터 무과시험을 보던 중 낙마하는 모습, 왕명을 거역해 관직에서 파면된 후 압송되는 모습, 여러 차례 해전과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기까지 이순신 장군의 일생이 담겼습니다.

이 밖에 고전소설 '삼국지연의'의 주요 장면을 그린 <삼국지연의도십곡병(三國志演義圖十谷屛)>, 석지 채용신의 <화조영모팔곡병(花鳥翎毛八曲屛)>, 남농 허건의 1946년 작 병풍 <산수십곡병(山水十谷屛)>, 청전 이상범이 1957년에 그린 수묵담채화 <춘계어락(春溪漁樂)>, 작자미상의 <까치호랑이>, 소나무 아래 흰 사슴 두 마리를 그린 <송하서록(松下瑞鹿)>, 고암 이응노의 <화조영모십곡병(花鳥翎毛十曲屛), 운보 김기창의 <참새를 쫓는 독수리> 등도 새 주인을 찾습니다.

경매 출품작은 오는 16일(월)부터 25일(수)까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칸옥션 전시장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석 기자 (stone21@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