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새만금 잼버리 참가비 놓고도 ‘뒷말’ 무성…‘부익부 빈익빈’

오상도 2023. 10. 5.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0만원대 고액 참가비 개인 부담?…일부 불만 표출
지역별 편차에 뒷말 흘러나와…서울·부산 등 본예산 반영
경기도교육청, 추경 삭감으로 106만원씩 지원 무산 위기
道의회 “사전 협의 없어…잼버리 엉망진창이라는 뜻”
외국 스카우트들에겐 숙박시설·체험 등 무상 제공 논란

‘말 많고 탈 많았던’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의 참가비를 놓고도 ‘뒷말’이 무성하다.

스카우트연맹과 정부의 요청으로 일부 시·도교육청이 교사·학생의 개인 참가비를 지원하면서 지역별로 형평성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발 빠른 시·도교육청들은 참가 독려를 위해 올해 본예산에 지원비를 반영, 무리 없이 집행했지만 경기도 등 일부 지역에선 추가경정예산안 반영마저 무산되며 ‘빈말’이 될 처지에 놓였다. 150만원 넘는 개별 참가비 역시 고스란히 개인 몫으로 돌려질 전망이다.

전북 부안군 잼버리 경관 쉼터에서 바라본 새만금 잼버리 야영지 모습. 뉴스1
◆ 발 빠른 서울·부산시교육청 등 본예산에 지원비 반영

5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새만금 잼버리 참가비 지원은 개최지인 전북도 등에서 주도적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9월 전북도의회에선 지원 조례안이 발의돼 같은 달 의결됐다. 700명의 지역 교직원·학생에게 1인당 153만원의 참가비 가운데 103만원씩을 전북도교육청이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가장 많은 430명 참가를 내걸었던 서울시교육청도 비슷한 시기에 움직였다. 지난해 말 시의회에 제출한 본예산에 6억원의 관련 예산을 반영했는데, 참가자가 줄면서 3억8000만원만 집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1인당 지원액은 150만원에 달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스카우트연맹이 지난해 11월 서울시의 사례를 들어 다른 시·도교육청에도 참가비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올해 3, 4월에는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시·도교육청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 참가비 지원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시·도교육청별로 내놓은 참가 지원비는 모두 20억원이 훌쩍 넘는다. 

이 과정에서 시·도별로 분위기가 엇갈렸다. 강원도교육청과 울산시교육청은 참가비를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반면 서울·부산시교육청과 전북·충북·충남도교육청 등은 지난해 9월부터 준비해 지역 교직원·학생에 대한 지원액을 본예산에 포함했다. 충북도교육청은 36명에게 72만원씩, 충남도교육청은 50명에게 100만원씩을 집행했다. 부산시교육청의 경우, 지역 참가자 128명에게 106만원씩 지원한 뒤 대만·스웨덴 스카우트들에게 다시 100만원 상당의 물품을 지원했다.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가 열리고 있는 지난 8월 3일 전북 부안군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영지에서 스카우트 대원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뉴시스
◆ 지역별 지원비 편차…고액 참가비 개인 부담 논란

경기·경북도교육청 등은 뒤늦게 참가비 지원 요청을 받아 이를 추경에 반영했다. 경북도교육청은 지난 5월 추경을 마친 뒤 35명에게 133만원씩을 지원한 상태다.

반면 올해 추경안 편성이 미뤄지던 경기도에선 2차 추경에서 4억2900여만원의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돼 빈축을 사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학생 364명 등 405명의 참가자에게 106만원씩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이 과정에서 도 교육청은 예산을 마련하지 않은 채 지난 5월 산하 교육지원청과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내 교사·학생에게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공문에는 참가비 일부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도내에선 3차 추경 편성이 불확실해 참가비 지원은 ‘없던 일’이 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경기도교육청에는 잼버리 참가비 지원을 문의하는 개인 참가자들의 전화가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의회는 도 교육청 추경안에 슬그머니 지원비를 담은 것을 문제 삼고 있다. 한 도의원은 “해당 상임위에서 문제점을 지적한 뒤 예결위에서 전액 삭감한 수정안이 본회의로 올려졌다”며 “도 교육청이 논의하지 않은 것도 문제이지만, 그만큼 잼버리 진행이 엉망진창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안정적 마무리를 돕겠다”며 잼버리 파행 직후 외국 참가자를 대상으로 숙박시설과 견학·프로그램 등을 운영한 터라 난감한 처지가 됐다. 정작 지역 참가자들은 외면한 모양새가 된 탓이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에 보낸 공문에선 ‘예산 범위 안에서’ 지원한다고 밝혀 의무사항은 아니었다”며 “부득이하게 추경으로 편성했는데 지금은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고 설명했다.

수원=오상도 기자·전국종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