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한 지 5년 넘은 동료 자녀 결혼 소식… “축의금 안 보내면 이름 석자 기억하겠다”

양다훈 2023. 10. 5. 14: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퇴직한지 5년이 넘은 직장 동료로부터 "자녀 결혼 축의금을 보내라"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은 직장인의 사연이 누리꾼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4일 엑스(X·옛 트위터)의 한 이용자 A씨는 "퇴직한 지 5년 넘으신 분께서 자녀 결혼 축의금 안 한 사람들한테 카톡을 하나씩 보냈다"고 운을 띄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일 사회관계망 서비스 (SNS) 엑스 갈무리.
 
퇴직한지 5년이 넘은 직장 동료로부터 “자녀 결혼 축의금을 보내라”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은 직장인의 사연이 누리꾼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4일 엑스(X·옛 트위터)의 한 이용자 A씨는 “퇴직한 지 5년 넘으신 분께서 자녀 결혼 축의금 안 한 사람들한테 카톡을 하나씩 보냈다”고 운을 띄웠다.

A씨가 공개한 메시지 내용을 살펴보면 퇴직자 B씨는 “저는 지난달 자녀 결혼(9/23)을 마치고 경조사비와 인간관계에 대해 몇 자 적어보고자 하니 이해해 주시면 좋겠다”면서 축의금을 요구했다.

B씨는 “경조사비의 사전적 의미는 기브 앤드 테이크(Give and Take, 주고받기) 상부상조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며 “저는 지난 10년간 애경사 시에 참여한 점을 기준으로 금번 자녀 결혼 시 축의금 답례, 53%가 응답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조사비는 품앗이 측면을 고려할 때 귀댁은 아래 두 가지 중 한 가지 경우에 해당할 것”이라며 “첫째, 상대의 경조사를 몰라서 축의금 답례를 못 했을 경우이고 늦게라도 동참해 주시면 고맙겠다. 둘째, 상대의 경조사를 알고도 안 하는 경우는 어쩔 도리가 없겠으며 다만 그의 이름 석 자만을 기억하겠다”고 전했다.

A씨는 B씨에게 받은 금액과 똑같이 5만원을 보냈다고 밝히며 기분이 상했다고 털어놨다.

A씨는 “돈을 주고 말고를 따지려는 게 아니다. 경조사 연락하실 때 모르는 번호로 아무 얘기도 없이 모바일 청첩장만 날리셔서 아무리 어른이어도 예의가 없었다”며 “그때부터 기분 상했는데 ‘돈 안 주면 이름 기억하겠다’는 협박식 문자를 보내시길래 열 받았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청첩장 보낼 때 잘 지내냐고 한마디만 보냈어도, 조금만 더 좋게 표현했다면 늦어서 죄송한 마음도 담아서 자녀의 결혼을 축하해 드렸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해당 글은 엑스에서 5일 기준 삭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