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2억 껑충, 23억 신고가까지…서울도 아닌데 왜이래? [부동산360]

2023. 10. 5. 0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시장 회복세가 충청권 지역으로 번지고 있다.

앞서 지난 7월에도 대전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123건으로 완연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파트 가격 회복세가 이어지자, 한 달 만에 2억원가량 오른 단지가 나오고 있다.

대전 서구 둔산동 신도심 아파트 상징 '크(크로바)·목(목련)·한(한마루)' 중 한마루 101㎡는 일주일 만에 1억원이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2 전용 134, 23억원 신고가
집값 바닥론·연구단지 호재 등에 매매가 상승
대전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 [네이버지도 거리뷰]

[헤럴드경제=이준태 기자]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시장 회복세가 충청권 지역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지정 등 호재가 있는 대전의 회복세가 눈에 띈다.

5일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8월 대전 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1244건으로 전년 동기 548건 대비 약 127% 증가했다. 앞서 지난 7월에도 대전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123건으로 완연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민간 통계인 KB부동산 월간 시계열 자료에서도 대전 지역은 8월에 0.08% 오르면서 86.8을 기록했다. 1년7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으며, 지난달엔 이보다 0.4% 더 올라 87.2를 나타냈다. 반면 같은 기간 다른 광역시 부산(-0.30%)과 대구(-0.31%), 광주(-0.31%), 울산(-0.23%)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아파트 가격 회복세가 이어지자, 한 달 만에 2억원가량 오른 단지가 나오고 있다.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인스빌리베라’ 전용면적 130㎡(이하 전용면적 기준)는 지난 8월 10억8000만원에 손바뀜됐다. 같은 면적의 직전 거래가는 지난 7월 8억7000만원이었는데, 한달 새 2억1000만원 상승했다. 대전 서구 둔산동 신도심 아파트 상징 ‘크(크로바)·목(목련)·한(한마루)’ 중 한마루 101㎡는 일주일 만에 1억원이 올랐다. 이 단지 지난 8월25일 7억5000만원에 매매 거래됐지만, 동일 면적이 지난달 1일 1억원이 뛴 8억5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 같은 상승세에 대전 ‘원조 부촌’에선 20억 클럽에 가입한 곳이 등장했다.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2단지 203㎡는 지난 6월 27억원에 거래됐다. 이후 지난 7월13일 134㎡가 23억원에 손바뀜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134㎡는 올 2월 14억1700만원에 계약이 체결됐는데, 5달 새 9억원가량 상승한 셈이다. 서구 둔산동 크로바도 지난 7월 164㎡가 21억원에 거래됐는데, 지난 8월엔 이보다 1억원 상승한 22억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분양권 거래에서도 웃돈이 붙고 있다. 지난해 분양한 대전 서구 둔산 더샵 엘리프는 84㎡B타입 분양권이 지난 5월 6억8610만원에 거래됐다. 해당 타입의 분양가 6억1620만원과 비교하면 약 7000만원 오른 셈이다.

분양시장도 상승세다. 지난 8월에 분양한 ‘둔산 자이 아이파크’는 청약 접수 결과, 평균 경쟁률과 해당 지역 기준 최고 청약 경쟁률은 각각 68.6대 1 및 354대 1에 달했다. 올해 대전 지역 최고 경쟁률이다. 미분양 단지도 완판을 달성했다. 대전 서구 도마동 소재 ‘포레나 대전 월평공원’ 은 최근 전 가구가 모두 주인을 찾았다.

대전 지역의 상승세는 규제 완화와 집값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에 힘입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졌는데, 규제 완화와 더불어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해지자 ‘지금이 가장 쌀 때’라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이라고 평했다.

대덕연구단지 등 연구시설과 인근으로 세종시와 충북 청주 오창 산업단지 등 기업 이주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있는 점도 집값 상승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대전 지역은 최근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로 지정됐다.

양 소장은 “아파트 매매 시장에서 일자리는 미래에도 수요를 움직이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대전 등 충청권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아 투자 수요도 이끌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Lets_w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