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가구부터 펫테리어까지…'프리미엄' 앞세운 가구업계

함지현 2023. 10. 4. 16: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리바트, 프리미엄 가구 '리바트 마이스터 컬렉션' 론칭
신세계까사, '라메종' 대대적 리뉴얼…한샘, '바흐' 라인 운영
주거환경 고급화·높아진 소득 수준으로 차별화 가구 주목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가구업계가 ‘프리미엄’을 앞세워 브랜드 전략을 강화한다. 주거환경 고급화와 높아진 소득 수준으로 차별화된 가구·인테리어를 원하는 소비자층을 겨냥한 것이다.

현대리바트 마이스터컬렉션 노체 침대(사진=현대리바트)
현대리바트, 장인 10명 참여 원목가구 선봬…생산까지 최소 3주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리바트는 프리미엄 가구 라인 ‘리바트 마이스터 컬렉션’을 선보였다. 프리미엄 가구 개발 연구실 ‘마이스터 랩’(Meister LAB)에서 모든 제품의 개발과 생산을 책임지는 최상위 프리미엄 가구 라인으로, 월넛, 애쉬, 버치 등 최고급 천연 원목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마이스터 컬렉션 제품 생산에는 원목 가공·패브릭·가죽 등 각 소재나 공정별 장인 10여명이 참여한다. 전문가가 모든 생산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생산 소요 시간도 한 제품당 최소 3주 이상 걸린다.

이번에 첫선을 보이는 마이스터 컬렉션 제품은 침대·소파 등 8종으로, 연내 식탁·티테이블 등 총 15종의 신제품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이다. 침대는 ‘노체’·‘플로랄’ 등 4종이다. 플래그십 제품인 노체 침대의 경우 헤드보드 양쪽 사이드를 최고급 수종인 천연 월넛 원목을 그대로 사용했다. 소파는 강렬한 디자인과 색상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대표 제품인 ‘쿠스’ 소파는 3.5인용으로 입술 라인을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색상도 입술의 붉은색에서 따왔다.

신세계까사는 지난 2019년 선보였던 프리미엄 가구 라인 ‘라메종’을 대대적으로 리뉴얼한다. 기존 ‘프렌치모던’ 양식을 바탕으로 한 클래식한 디자인은 살리면서 신세계까사만의 정체성을 더한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한다. 리뉴얼한 라메종은 올해 하반기 ‘라파엘’ 홈오피스 시리즈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내년 상반기 중 완성된 라인업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베스트셀러인 모듈형 패브릭 소파 시리즈 ‘캄포’ 역시 프리미엄화와 더불어 라인업을 지속 확장 중이다. 편안한 착석감과 넓은 좌방석, 자유재자로 조합이 가능한 모듈 기능과 관리가 쉬운 기능성 패브릭으로 지난 한 해 동안에만 약 10만세트가량 판매했다. 이런 인기를 감안해 라인업을 다양화했으며 침실 가구와 소파 외의 거실 가구 등으로도 카테고리를 확장 중이다.

가구뿐만이 아니다. 신세계까사는 반려동물 친화 가구 브랜드 ‘몽스’도 론칭했다. △소파 △캣가구 5종 △펫쿠션 등 반려동물과 함께 또는 따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했다. 소파는 ‘펫스텝퍼(계단처럼 생긴 반려동물 가구)’와 ‘코너형’, ‘오픈카우치’, ‘암리스’ 4종의 모듈로 구성했다. 캣가구는 프리미엄 가구에 주로 사용하는 ‘애쉬(물푸레나무) 원목’을 사용했다. 팻쿠션은 초극세사 신소재인 마이크로 화이버 충진재를 활용했다.

드레스룸·주방·부엌부터 반려동물 가구 브랜드까지

한샘은 가구부터 인테리어 공사 분야까지 홈 인테리어 전반에 걸쳐 프리미엄 브랜드 ‘바흐’(BACH)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다. 최고급 소재와 세련된 디자인을 적용한 점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바흐 706 플루드’는 이탈리아 회사 크레스트의 황소 통가죽을 사용한 가죽 소파다. 내부 프레임으로는 독일 OKE사의 특허받은 하이브리드 패널을 적용했으며, 스펀지 등 내장재까지 엄선했다.

한샘 ‘바흐 드레스룸’은 리얼 우드 질감의 표면재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드레스룸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수납 모듈도 다양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밖에 프리미엄 부엌 가구 브랜드 ‘키친바흐’는 모든 제품을 친환경 자재로 만들었다. 프리미엄 욕실 브랜드 ‘바스바흐’는 대형 이탈리아 수입 타일 등을 통해 고급스러운 욕실을 구현한다. 수전, 도기, 수납장 등도 미국 콜러, 이탈리아 스카라베오 등의 프리미엄 제품을 적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리빙 시장은 주거환경 고급화와 높아진 소득수준으로 고도화하고 있다”며 “국내 브랜드들이 디자인·제조 품질 고급화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해외 유명사들 가구사들과 비교해 경쟁력을 발휘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함지현 (ham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