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T 대표 “향후 AI 투자 3배 확대, 2028년 매출 25조원 달성”

채제우 기자 2023. 9. 26. 10: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6일 SK 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AI 사업전략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오늘 자사 AI(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닷(A.)’을 정식 출시했다.

26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T타워 수펙스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미래 AI 비전을 담은 ‘AI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은 AI 인프라, AIX(인공지능전환), AI 서비스 등 3대 영역으로 구성된 ‘AI 피라미드 전략’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AI 관련 투자를 3배로 늘려 2028년까지 전체 매출 25조원 이상 달성이 목표다.

먼저 ‘AI 인프라’는 AI 데이터센터, AI 반도체, 멀티LLM(대형언어모델)의 경쟁력 강화가 핵심이다. AI 시장이 본격화되면서 데이터센터는 공급부족과 함께 전력 과다 사용, 탄소 배출 급증 등이 새로운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SK텔레콤은 에너지 절감을 돕는 액침냉각 시스템, 수소 연료전지 등의 에너지 설루션을 도입하는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국내 데이터센터 규모도 2030년까지 현재의 2배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설립한 AI 반도체 전문기업인 ‘사피온’도 차세대 추론용 AI칩 ‘X330′을 올해 연말 출시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X330은 경쟁사 대비 연산 성능이 약 2배, 전력 효율도 1.3배 우수하다. 멀티LLM 영역에서는 수십년간 축적해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능을 고도화하고, 오픈AI 등 주요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해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AIX(인공지능전환)는 통신, IPTV(인터넷TV) 등 기존 주요 서비스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헬스케어 등 영역까지 AI 서비스를 확장하는 게 골자다. SK텔레콤은 마케팅, 고객센터에 콘택트센터(AICC) 등 AI 기술을 접목해 중장기적으로 20~30% 이상의 비용을 절감하고, TV가 시청자를 식별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AI 큐레이션’ 도입 등 서비스를 혁신할 계획이다. 향후에는 UAM(도심항공교통), 헬스케어, 미디어 등 다른 영역에 AI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A.(에이닷)의 브랜드 이미지./SK텔레콤 제공

특히 이날 ‘개인 AI 비서’를 표방하는 에이닷을 정식 출시했다. 에이닷은 이전 통화 내역을 바탕으로 전화할 사람을 추천하고, 통화 중 주고받은 내용을 AI로 분석해 핵심 정보 중심의 통화 요약을 제공한다. 동시에 통화 중 약속한 일정을 달력에 등록하거나 주소를 공유하는 등 기능을 다양화했다. 이외에도 이달 중 호흡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 패턴과 질을 분석하는 ‘AI 수면 관리’, AI와 대화만으로 플레이리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AI 뮤직’ 서비스를 이달 중 제공하는 등 일상 전반에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앞서 지난 7월, SK텔레콤은 도이치텔레콤, 싱텔 등 글로벌 통신사들과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결성했는데, 이들 통신사의 가입자는 전세계 45개국, 약 12억명에 이른다. SK텔레콤은 이들과 협력해 현지화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에 동시다발적으로 에이닷을 출시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AI 관련 투자 비중을 과거 5년(2019~2023년)의 12%에서 향후 5년간(2024~2028년) 33%로 약 3배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8년까지 매출 25조원 이상 달성이 목표다. 유영상 대표는 “생성형 AI 로 촉발된 파괴적 혁신은 산업, 사회, 생활 영역에서 이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SKT는 ‘자강과 협력 기반의 AI 피라미드 전략’을 중심으로 AI 컴퍼니 실행력을 가속화하고 AI 관련 리소스 투자도 지속 확대하여 명실상부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