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치매냐' 폭언에 상처…치매 대신 인지증 어떠세요

윤진섭 기자 2023. 9. 22. 08:4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치매(癡呆)' 병명을 바꾸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치매라는 용어가 병에 대한 편견을 만들고, 환자와 가족에게 모멸감을 준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치매라는 말은 ‘정신이상(Dementia)'이라는 라틴어 의학 용어 어원을 반영해 '치매(癡呆·어리석다)'라는 한자어로 옮긴 것입니다. 일본에서 전해받아 한자어를 한국 발음으로 읽어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 치매용어 개정 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해, 치매 용어 관련 해외 사례와 다른 병명 개정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021년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치매 용어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은 치매 용어에 대해 거부감이 든다고 응답했습니다.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대만이나 중국, 일본도 처음에는 ‘치매'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2000년대 들어와서는 용어를 바꿨습니다. 대만은 ‘실지증'(2001년)으로, 일본은 ‘인지증'(2004년), 중국은 ‘뇌퇴화증'(2012년)으로 명칭을 바꿨습니다. 미국 정신질환 진단기준 매뉴얼인 DSM-5도 2013년부터 ‘주요 신경인지 이상(major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s)'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2011년 정신분열병은 조현병으로, 2014년 간질은 뇌전증으로 개정됐습니다. 두 사례 모두 관련 학회에서 대체 명칭을 공모한 다음 법적 개정 과정을 거쳤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