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온 민주당 원내대표 사퇴···당 지도부 “가결은 해당행위”

김윤나영·탁지영 기자 2023. 9. 21. 23: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정식 사무총장도 사의표명
이 대표 “사표 수리 전까지 정상근무” 지시
당내선 “이 대표 책임을 왜 원내대표가 지나”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와 송기헌 원내수석부대표(왼쪽)가 21일 국회 본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성동훈 기자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조정식 사무총장이 21일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에 책임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이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최고위원들은 사퇴하지 않기로 했다. 당 지도부는 “가결 투표는 용납할 수 없는 해당행위”로 규정하며 색출 작업을 시사했다. 당내에선 “이 대표의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 파기로 생긴 결과의 책임을 왜 원내대표가 지나”라는 반응이 나왔다.

이소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원총회 직후 브리핑에서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가 지도부의 요청과 다른 방향으로 나왔기 때문에 그 모든 상황에 대한 책임을 지고 박 원내대표가 사의를 표명했다”며 “이 시간부로 원내대표단은 총사퇴”라고 밝혔다. 이 원내대변인은 “조정식 사무총장과 사무총장 산하 정무직 당직자들도 모두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는 사퇴하지 않기로 했다. 민주당 최고위는 이날 밤 11시43분쯤 입장문을 통해 “최고위원들은 조속히 당을 안정시키고 이 대표를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원들은 당원들의 선출을 거쳤기 때문에 다시 뽑으려면 전당대회를 다시 해야 한다”며 “그 자체가 무리가 있다”면서 사퇴에 난색을 표했다. 이 대표가 조 사무총장의 사표를 수리할지도 미지수다. 이 대표는 조 사무총장과 정무직 당직자들에게 “사의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정상적으로 근무하라”고 지시했다고 권칠승 당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민주당 최고위는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대해 참담함과 책임을 통감하며 국민과 당원들께 사과드린다”며 “차기 원내대표는 빠른 시일에 당헌·당규에 따라 선출하겠다”고 밝혔다. 최고위는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 중앙위원 규탄대회에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는 부당한 정치탄압으로 규정했다”며 “그러하기에 오늘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대한 본회의 가결 투표는 용납할 수 없는 명백한 해당행위”로 규정했다. 최고위는 “아울러 이 대표가 단식을 지속하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기에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지도부 총사퇴론’과 ‘원내지도부 사퇴론’이 맞붙었다. 친이재명(친명)계 의원들은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을 당론으로 정하지 않은 책임을 물어 박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 한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절대 반대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비이재명(비명)계 의원들은 당 지도부 책임론으로 맞섰다. 한 의원은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은) 원내대표 책임이 아닌 지도부 책임”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한 재선 의원은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 약속을 파기하고 말을 바꾼 책임을 왜 원내대표에게 지우나”라며 “지도부가 이 사태에 책임지고 총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 직후 속개한 의원총회에서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오늘 지도부의 결정과 다른 표결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서 책임지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의원들 사이에서 감정 싸움도 벌어졌다. 김상희 의원은 의원총회장 밖에서 비명계 김종민 의원을 향해 “그러면 박살나지. 우리를 존중을 좀 해달라”고 말했다. 김종민 의원과 김정호 의원은 서로 툭툭 치면서 신경전을 벌였다. 김종민 의원이 “그렇게 말하지 말고”고 했고 김정호 의원은 “당신이야말로 그러지 마”라고 격하게 반응했다. 홍익표 의원은 의원총회장을 나오면서 “나 탈당 선언할 거야”라고 말했다.

앞서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녹색병원에서 단식 22일째인 이 대표를 찾아가 ‘통합적 당 운영’ 방안에 대해 의논했다. 이 대표는 “통합적 당 운영에 도움되는 기구가 필요하다면 만드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을 위해 이 대표와 비이재명계 의원들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당헌·당규상 당 대표가 궐위하면 원내대표가 대표의 직무를 대행한다. 원내대표도 없다면 전당대회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최고위원이 승계한다.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최고위원은 정청래 최고위원이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는 당분간 공백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탁지영 기자 g0g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