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닥 방문요양돌봄센터, 매출 1000% 증가...장기요양사업 ‘흑자전환’ 달성

조광현 기자(cho.kwanghyun@mk.co.kr) 2023. 9. 21. 11: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달여만에 구축한 총 10개 직영 센터 기반, 요양 서비스 제공한 수급자도 361% 증가
각 직영 센터 시설장부터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등 전문성 갖춘 돌봄 제공
연내 방문요양돌봄센터 파트너점 30개 오픈.. 전국적 돌봄 서비스로 시니어 산업 선도해 나갈 것
케어닥 로고
시니어 토탈 케어 플랫폼 케어닥(대표 박재병)의 장기요양사업부가 운영하고 있는 방문요양돌봄센터가 흑자 전환에 성공, 본격적인 수익화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케어닥의 방문요양돌봄센터 흑자 전환은 1호 직영점(노원점)이 오픈한 2022년 4월 이후 약 1년 4개월 만에 달성한 것으로, 올해 8월 기준 매출 증가율이 1000%를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번 성과는 첫 센터 런칭 이후 총 10개에 달하는 직영점을 빠르게 개설함과 동시에 요양 수급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온 장기요양사업부의 적극적인 행보가 주효했다.

실제, 케어닥 장기요양사업부는 노원점을 시작으로 성북점, 송파점, 관악점, 수원점 등 10개의 직영점을 1개월만에 연이어 오픈했고, 수도권과 부산경남 등지에 걸친 지역 거점의 돌봄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로써 요양 혜택을 제공받은 장기요양수급자는 설립 초기에 비해 361%나 급증했다.

케어닥 방문요양돌봄센터는 장기요양사업부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지원 시스템 아래, 경력과 현장 노하우를 두루 갖춘 각 직영 센터의 시설장 및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들의 돌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서 제공받는 기본적인 요양 항목 외에 병원 간병 서비스 연계, 비급여 서비스 연계도 가능해 돌봄 공백 최소화를 위한 케어닥만의 특별함을 더하고 있다.

케어닥은 이번 흑자 전환을 발판 삼아 올해 하반기부터 케어닥 방문요양돌봄센터 파트너점(프랜차이즈)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미 전국적인 시니어 케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다수의 파트너점들이 케어닥 브랜드에 참여해 경쟁력을 갖춘 방문요양 사업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케어닥의 자체 수익성 확대에 속도가 더해져 향후 사업 확장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많은 스타트업들이 고민하는 수익성에 대한 과제를 단기간 내에 풀어낸 만큼, 스타트업 ‘옥석 가리기’에서도 긍정적 위치를 선점했다는 평가다.

케어닥 장기요양사업부 문연걸 BO(Business Owner)는 “방문요양돌봄센터의 가파른 성장은 각 센터에 계신 시니어 돌봄 전문가분들이 어르신을 또 하나의 가족으로 모시겠다는 진솔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센터의 안정성과 전문성을 더욱 고도화하고 어르신이 필요로하는 요양돌봄 연계 서비스 모델을 다각화해 돌봄 공백 최소화에 앞장 설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케어닥은 어르신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니어 토탈케어 플랫폼이다. 케어닥은 △시니어 돌봄 매칭 서비스, △홈케어 서비스, △방문요양돌봄센터 직영 및 파트너 사업, △시니어 주거사업, △B2B 병원간병 등으로 시니어 생애주기에 특화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며, 건강한 돌봄 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