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함부로 만지지 마세요"...'열흘간 7kg' 빠지더니 사망한 소녀, 무슨 일?

서예림 2023. 9. 21. 08: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베트남에서 15살 소녀가 세균성 감염병인 유비저에 걸린 뒤 한달 만에 사망했습니다.

2013년 캄보디아로 여행을 간 방송인 박용식씨가 유비저균에 감염돼 사망한 일이 대표적입니다.

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 면역력 저하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더더욱 유비저를 조심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유비저를 예방하려면 해당 질병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되도록 흙을 만지지 않는 게 권장되고, 식수도 한 차례 끓여 마셔야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염된 토양·물 접촉하면 감염
감염시 발열·두통·호흡곤란·흉통 등 증상
유비저균/사진=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베트남에서 15살 소녀가 세균성 감염병인 유비저에 걸린 뒤 한달 만에 사망했습니다.

어제(20일) 현지매체인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중부 타인호아성에 살던 이 소녀는 지난 8월 말에 인후통, 기침, 고열 등의 증세를 보인 뒤 10일 만에 몸무게가 7㎏이나 줄었습니다.

이달 초 아동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고 검사 결과 유비저 감염이 확인됐고 결국 지난 17일 숨졌습니다.

A양이 어떤 경위로 유비저균에 노출됐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지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결과, A양과 A양의 가족은 고향 마을에서 벗어난 적이 없었습니다. 이들은 우물에서 식수를 얻었고, 농사는 짓지 않았습니다.

유비저균은 통상 오염된 토양, 물에 접촉하거나 흡입했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피부에 생긴 상처를 통해 균이 침투하기도 합니다. 대신 사람 간 전염은 극히 드문 편입니다.

해외여행을 간 관광객이 유비저균에 감염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2013년 캄보디아로 여행을 간 방송인 박용식씨가 유비저균에 감염돼 사망한 일이 대표적입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박씨는 국내 첫 유비저 사망 사례이기도 합니다.

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 면역력 저하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더더욱 유비저를 조심해야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은 기저질환자는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도 유비저는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감염병입니다. 이 때문에 유비저를 예방하려면 해당 질병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되도록 흙을 만지지 않는 게 권장되고, 식수도 한 차례 끓여 마셔야 합니다.

또 피부에 생채기가 생겼을 때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야 한다고 VP 익스프레스는 전했습니다.

메리오이드증이라고도 불리는 유비저는 동남아시아와 호주 북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병입니다.

세균이 상처가 난 피부를 통해 침입하거나, 오염된 물이나 공기를 마셔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감염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데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사망률이 높아져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서예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lanastasia7767@gmail.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