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포플러 나무 아래 추억은 먼 과거로/식물세밀화가

2023. 9. 20. 05: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내 작업실에는 커다란 창문이 있다. 의자에 앉으면 창문 밖으로 늘 같은 구도의 풍경이 보인다. 하천과 아파트 그리고 둘을 가르는 거대한 포플러 나무. 어느 날 창문 밖 포플러의 정확한 종이 궁금해져 직접 그 나무에게로 가 보았다. 그렇게 나무 아래 섰을 때 멀리에서 내 손가락만 해 보이던 나무의 높이는 20m가 족히 넘었고, 가지에 세모꼴 잎이 울창했다. 그 나무는 이태리포플러였다.

내 창문 속 이태리포플러처럼 누구에게든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만나게 되는 나무가 있지 않을까? 아파트 거실 창문으로 보이는 느티나무, 회사 각자의 자리에서 보이는 은행나무, 교실 창문 밖 양버즘나무처럼 그저 멀찍이서 존재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안정감이 드는 그런 나무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포플러의 잎.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은사시나무(잎 뒷면),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황철나무, 은백양(잎 뒷면), 양버들.

포플러는 사시나무속(포풀루스속) 식물을 총칭한다. 우리나라에는 사시나무, 황철나무, 당버들 그리고 외국에서 도입된 미루나무와 양버들, 은백양, 이태리포플러 등이 자란다. 포플러가 언제 처음 도입돼 우리 주변에 심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1905년 부산의 수원지에 포플러가 조림됐다는 기록이 있다.

이태리포플러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포플러 종류가 아닐까 싶다. 이들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55년 이후이며 1962년부터 전국적으로 13만 그루 이상이 식재됐다는 기록이 있다.

과거 포플러를 우리 주변에 많이 심은 것은 빨리 자라는 속성수이며 펄프, 성냥갑, 담뱃갑 등의 재료인 효용성이 높은 나무이기 때문이었다. 포플러가 많이 심긴 1960~80년대 우리의 목표는 하루빨리 숲을 푸르게 만들고 국민 모두가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도록 산업을 확장시키는 데에 있었다.

얼마 전 집 창고에서 옛 과일 상자를 발견했다. 아버지는 이 상자 목재가 포플러라고 말씀하셨다. 포플러 목재는 비교적 저렴하고 색이 희어서 상표나 문구를 찍기 좋고, 못이 한 번 박히면 잘 빠지지 않아 과일과 생선 상자로 많이 썼다고 한다. 포플러 성냥갑도 많아 우리나라에서 식재된 포플러 상당수가 성냥 회사에서 심은 것이란 이야기도 있다.

만약 내가 40~50년 전에 태어나 식물을 그렸다면 나는 포플러로 만든 화판에 그림을 그렸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이제는 포플러를 잘 심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 더이상 포플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빨리 자라기만 하고 수명이 짧은 나무를 원하지 않는다. 더는 성냥을 쓰지도, 무거운 목재 상자에 과일과 생선을 유통하지도 않는다. 이들은 꽃이나 열매가 화려하지 않아 조경식물로서의 수요도 적다.

그간 포플러가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외래종을 심지 말자는 목소리에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 탓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들이 우리에게 더이상 필요한 나무가 아닐 뿐이다.

내 작업실에서 보이는 이태리포플러는 1970년대 하천에 줄지어 심어진 개체 중 하나이다. 처음 심어질 당시 그 나무 곁에는 많은 동료 나무가 있었으나, 동네가 신도시가 돼 아파트가 지어지고 공원이 조성되는 역사를 지나고 나서도 베어지지 않고 살아남은 유일한 포플러가 됐다.

은사시나무의 잎 뒷면은 흰 솜털로 덮여 있고 수피 또한 회갈색이라 바람이 불 때면 나무가 희어 보인다.

흔히 미세한 자극에도 크게 떨리는 모습을 비유해 ‘사시나무 떨듯’이라는 표현을 쓴다. 바람이 불어 사시나무 잎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면 이 뜻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은사시만 해도 잎자루가 유난히 길고 가느다란 데다 정면에서 보면 잎자루 두께가 무척 얇은 반면 측면에서는 두께가 두꺼워 마치 칼국수 가락처럼 납작한 형태를 띤다. 그러니 이들은 바람에 잘 흔들릴 수밖에 없다.

또한 양버들 수형이 둥근 것은 가지가 위를 향해 많이 뻗기 때문이다.

어릴 때 듣던 가요 중에는 ‘포플러 나무 아래’가 있다. 오늘 아침 ‘포플러 나무 아래 나만의 추억에 젖네’라는 가사를 들으며 지금 시대에는 나올 수 없는 제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포플러 아래에 서서 추억에 젖는 감성이 보편적으로 통할 수 있던 것은 포플러가 무성했던 1990년대 한국이기에 가능했을 뿐, 지금은 왕벚나무나 몬스테라가 포플러를 대신하고 나무라는 생물이 아닌 멋스러운 시설물이 현대인들에게 추억의 매개가 된다.

1965년 출간된 책 ‘포플러 재배’의 서론에는 이런 문장이 쓰여 있다. ‘소나무를 심어서 좋은 곳도 있고 이깔나무(잎갈나무)를 심을 곳도 있고 잣나무를 심어서 알맞은 곳도 있다. 또 어떤 곳에는 포플러를 심어서 이로운 곳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나무의 적지를 골라서 원하는 종류의 나무를 식재해 보려는 것이다.’ 이 땅에 영원히 좋거나 나쁜 나무란 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