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원이란 피사체 충분히 못담아 아쉬워. 후속편 바로 만들 수 있어”…영화 ‘천박사 퇴마연구소’

김기중 2023. 9. 19. 17: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동원이라는 위대한 피사체를 충분히 담지 못해 아쉽다. 나중에 더 촬영하고 싶다."

27일 개봉하는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을 연출한 김성식 감독이 아쉬움을 전했다.

영화는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 가짜 퇴마사 천 박사의 이야기다.

김 감독도 천 박사 캐릭터에 대해 "전우치와는 유쾌한 부분이 닮았지만, 과거 사건들 때문에 진중함이 있고 광기 어린 복수심이 있는 인물"이라며 "영화에는 강동원 본연만의 '츤데레(무관심한 척하면서 책여주는) 캐릭터'를 녹였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천박사 퇴마연구소’ 스틸컷. CJ ENM 제공

“강동원이라는 위대한 피사체를 충분히 담지 못해 아쉽다. 나중에 더 촬영하고 싶다.”

27일 개봉하는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을 연출한 김성식 감독이 아쉬움을 전했다. 김 감독은 19일 서울 용산 CGV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강동원은 어떤 피사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재치넘친 답을 내놨다. 영화에서 강동원의 적수로 나오는 허준호 배우도 “강동원 이름이 기대됐던 작품이었다. 출연을 안 할 이유가 없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영화는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 가짜 퇴마사 천 박사의 이야기다. 서낭당을 모시는 당주 무당의 장손이지만, 유튜브 퇴마 채널을 운영하는 천 박사는 퇴마란 귀신이 아닌 사람의 마음을 상대하는 일이라 믿는다. 타고난 언변과 뛰어난 관찰력, 그리고 사람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지닌 그는 애초 거절하려던 유경(이솜)의 의뢰를 받고 그의 집에서 차원이 다른 진짜 악령과 마주한다.

강동원이 맡은 천 박사는 남을 속이지만 유쾌한 인물이다. 유경의 의뢰 후 사건을 추적하면서 자신의 아픈 과거와 마주하고, 숨겨진 능력도 발견한다. 강동원은 “이번 캐릭터가 앞서 출연했던 ‘전우치’(2009)나 ‘검사외전’(2015)의 중간쯤에 있어서 되도록 겹치지 않도록 노력했다”면서 “내면의 아픔이 있는 캐릭터여서 영화 속에서 감정의 층(레이어를) 많이 쌓으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자신을 ‘피사체’로 부른 것을 두고는 “오늘 영화를 보니 나이가 느껴져 좋았다. 좀 더 다양한 역할 할 수 있는 나이가 돼 기쁘다”고 덧붙였다.

김 감독도 천 박사 캐릭터에 대해 “전우치와는 유쾌한 부분이 닮았지만, 과거 사건들 때문에 진중함이 있고 광기 어린 복수심이 있는 인물”이라며 “영화에는 강동원 본연만의 ‘츤데레(무관심한 척하면서 책여주는) 캐릭터’를 녹였다”고 설명했다.

영화 ‘천박사 퇴마연구소’ 스틸컷. CJ ENM 제공

영화에서는 허준호가 상대역 ‘범천’으로 등장한다. 사람들에게 해를 가해 몸을 옮겨 다니며 빙의하는 악랄한 무당으로, 영화 속에서 특유의 카리스마를 발산한다. 특히 후반부 액션도 무리 없이 소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허준호는 이를 두고 “액션 때문에 사실 도망가고 싶었다. 해낼 수 있을까, 기대했던 카리스마를 보일 수 있을까가 숙제였다”면서 “최선을 다했지만, 영화를 보니 관객분들께 조금 죄송하다”고 밝혔다. 강동원은 이를 받아 “허 선배가 저렇게 말씀하시지만, 영화에서 멋있고 카리스마가 넘친다. 덕분에 촬영도 잘 마쳤다”고 했다.

이번 영화는 후렛샤와 김홍태 작가의 웹툰 ‘빙의’를 원작으로 했다. 악귀를 감지하면 울리는 놋쇠 방울과 귀신을 관통하는 무기 칠성검, 귀신을 잡아 가두기 위해 경문과 문양을 한지에 조각한 설경 등의 설정이 이색적이다. 퇴마 기술직을 자처하는 천박사의 파트너 인배(이동휘)가 선보이는 리모트 컨트롤 폭파 장치와 조명탄 등 각종 장비들이 등장한다. 특히 이를 적절히 드러내는 특수효과(VFX)도 눈에 띈다.

김 감독은 “빙의하는 악령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 영화를 시작했다. 특히 시각적 욕심이 있었지만, 너무 과하면 판타지처럼 보여 유치해질 우려가 있었다”면서 “리얼리티 베이스 안에 절충선을 지키려 노력했다”고 했다.

영화가 끝난 뒤에는 후속을 암시하는 이른바 ‘쿠키’ 영상도 들어 있다. 웹툰 후속편 ‘마야고’, ‘데모니악’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김 감독은 “관객들이 이번 편을 선택해주셔야 후속을 만들 수 있다”이라면서 “혼자서 설경의 내부를 설명하는 내용이라든가 후속편에 대해 생각은 하고 있다. 만약 선택해주신다면 바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