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상 차림 비용, 전통시장 25만6000원〈 대형마트 36만7000원"

이윤주 2023. 9. 18. 1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추석(29일) 제수용품 중 지난해보다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은 사과와 배 등 과일류로 조사됐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제수용품 가격 차이는 4인 기준 지난해 6만7,417원에서 올해 7만1,117원으로 더 커졌다.

공단 측은 "사과, 배 등 과일류는 장마와 폭염으로 수확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지만 사육과 도축 마릿수가 늘며 육류 가격이 내려 추석 제수용품의 가격 변동은 전년에 비해서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추석 제수용품 가격비교조사
쇠고기 동태포 밤은 전통시장이 
사과 두부 밀가루 술은 대형마트가 저렴
추석을 열이틀 앞둔 17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추석(29일) 제수용품 중 지난해보다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은 사과와 배 등 과일류로 조사됐다. 장마와 폭염 등으로 작황이 줄어 제사상에 올릴 만한 과일이 귀해진 탓이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제수용품 가격 차이는 4인 기준 지난해 6만7,417원에서 올해 7만1,117원으로 더 커졌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이런 내용의 추석 제수용품 품목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4~8일 전국 전통시장 37곳과 인근 대형마트 37곳의 가격을 비교했다.

지난해보다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건 사과로 전통시장은 24%, 대형마트는 17.6%가 비싸졌다. 이 밖에 시금치(전통시장 18.6%), 황태포(9.4%), 두부(9.3%), 유과(8.9%), 배(7.3%), 닭고기(5.5%) 밀가루(5.3%)도 5% 이상 올랐다.


8월 물가 3.4% 올랐는데 제수용품 1.1% 올랐다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방문, 추석 농축수산물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대추(18.4%↓)와 같은 말린 과일과 쇠고기(2.4%↓), 돼지고기(3.2%↓) 값이 지난해보다 내려 전체 제수품목 물가는 전통시장이 0.1%, 대형마트가 1.1% 오르는 데 그쳤다. 8월 소비자 물가가 3.4% 오른 것과 비교하면 '선방'한 셈이다. 공단 측은 "사과, 배 등 과일류는 장마와 폭염으로 수확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지만 사육과 도축 마릿수가 늘며 육류 가격이 내려 추석 제수용품의 가격 변동은 전년에 비해서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4인 기준 전통시장이 평균 29만5,939원, 대형마트 평균 36만7,056원으로 전통시장이 19.4% 저렴했다. 품목별로는 깐도라지(64.5%), 고사리(63.8%), 숙주(44.%), 동태포(41.2%), 쇠고기(탕국용‧34%), 밤(33.1%) 등은 전통시장에서 사는 게 더 저렴했다. 그러나 가격이 크게 오른 사과를 비롯해 두부(50.3%), 밀가루(21.1%), 배(17.4%), 술(청주‧13.6%), 무(12.5%) 등은 대형마트가 더 쌌다. 사과는 4인 기준 전통시장에서 평균 1만9,769원에 파는 데 비해 대형마트는 1만5,439원에 팔았다.

조사된 숫자는 카드와 현금으로 살 때 평균 가격이다. 전통시장에서는 액면가보다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으로 제수용품을 살 수 있다. 실질적으로 10% 할인을 더 받는 셈이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추석을 맞아 10월 6일까지 온누리상품권 개인 할인구매 한도를 월 150만 원에서 180만 원으로 늘렸다"면서 "올 추석에는 온누리상품권으로 전통시장에서 알뜰하게 장을 보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