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래포구역 수인분당선 1시간에 1대… 철도노조 파업 4일째 시민 불편 이어져

이시명 기자 2023. 9. 17. 19:3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7일 오후 3시께 찾은 수인분당선 인천 소래포구역. 철도노조 파업으로 배차 간격이 길어지면서 열차에서 내리는 승객들과 타려는 승객들이 엉키며 혼잡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날은 소래포구 축제가 열려 혼란이 가중됐다. 이시명기자

 

“1시간에 열차 1대가 오는 게 말이 됩니까?”

전국철도노동조합의 파업이 4일째 접어든 17일 오후 3시께 수인분당선 소래포구역. 평소 주말과는 다르게 배차 간격이 길어지면서 열차에서 내리는 승객들과 타려는 승객들이 엉키며 혼잡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이날은 소래포구 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몰려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구매한 해산물을 든 승객들도 많아 승강장 한편에선 비릿한 냄새가 풍긴다.

평소라면 일요일 오후 3시부터 1시간동안 수원방면으로 4대의 열차가 운행한다. 하지만 이날은 오후 3시42분에 도착하는 열차 1대가 전부다. ‘바쁜 일이 있는 승객들은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올 때마다 승객들은 얼굴을 잔뜩 찌푸린다.

17일 오후 3시께 찾은 인천 소래포구역. 철도노조 파업으로 열차 도착이 늦어지면서 늘어난 승객들로 승강장이 붐비자 안내직원이 경광봉을 들고 혼잡을 통제하고 있다. 이시명기자

소래포구 역에서 만난 박모씨(57)는 “철도 운행 지연으로 열차를 놓쳐 40분이나 기다렸다”며 “아무리 휴일이라지만 1시간에 1대 운행이 말이 되느냐”고 토로한다. 이어 “승객들을 이용한 무리한 파업을 철회하고 명절 연휴에는 정상 운영하길 바란다”고 했다.

귀향길 기차표를 끊지 못한 축제 방문객의 걱정도 이어진다.

김인호씨(60)는 “전라도 광주에서 소래포구 축제에 오기 위해 KTX를 타고 왔다”고 말했다. 이어 “철도노조의 파업 소식에 내일 새벽 일찍 현장 예매하러 갈 계획인데, 표가 있을지 걱정이다”며 “명절에도 기차를 타야하는데 2차 파업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오후 5시 경인선 동암역도 상황은 마찬가지.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은 애타게 전광판만 보고 있다. 승객 일부는 지하철 도착 정보 어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열차 도착시간을 알아보지만, 파업 전 정보다 보니 시간이 맞지 않아 불평을 드러낸다.

동암역에서 만난 김한나씨(23)는 “친구와 영등포에서 오후 6시에 만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행 열차가 늦게 와 친구와의 약속 시간에 지각하게 됐다”며 “열차가 배차표 보다 얼마나 늦게 오는지에 대한 조금의 정보도 없어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철도노조는 지난 14일 오전 9시를 기해 오는 18일 오전 9시까지 5일간 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에는 필수 유지인력 9천여명을 제외한 조합원 1만3천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이날 철도 파업으로 인천과 서울을 잇는 경인선은79.5% 운행률을, 인천∼수원 간 수인선은 75%의 운행률을 기록했다.

이시명 기자 sml@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