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올랐다"...물가상승률보다 8배 높은 '소파'

노희준 2023. 9. 13. 1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로 올라서면서 물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소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8%에 달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8배 넘게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소파 소비자물가지수는 126.03로 전년동월 대비 27.7% 치솟았다.

이런 소파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품목 중 6번째로 높은 데다 내구재(3.6%) 중에서는 가장 높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 3.4%...석달만에 다시 3%대 복귀
소파 상승률 27.7% 전체 6번째...내구제 중 상승률 1위
책상(13.7%), 식탁(10.3%), 싱크대(8.5%), 거실장(8.3%) 등 가구 전반 올라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로 올라서면서 물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소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8%에 달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8배 넘게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통계청) 전년동월 대비 상승률 (단위=%)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으로 전년동월 대비 3.4% 올랐다. 전달 상승률(2.3%)보다 1.1%포인트나 오른 수준이다. 이로써 물가상승률은 지난 2월부터 둔화하다가 7월 2.3%로 25개월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뒤 석 달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서게 됐다.

품목별로는 생강(118.2%)의 상승률이 가장 컸다. 이어 지역난방비(33.4%), 드레싱(31.1%), 사과(30.5%), 당근(29.4%), 소파(27.7%) 순이었다. 폭염과 폭우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세가 큰 상황이다.

오래 사용하는 내구재 중에서는 소파의 물가상승률이 눈에 띈다. 지난달 소파 소비자물가지수는 126.03로 전년동월 대비 27.7% 치솟았다. 4월 1.5%에서 5월 20.7%로 14배로 폭증해서 7월에 다시 27.7%로 7%포인트 또 오른 뒤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런 소파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품목 중 6번째로 높은 데다 내구재(3.6%) 중에서는 가장 높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3.4%에 견줘서도 8배나 높다. 내구재 중에서는 소파 외 전기밭솥(19.8%), 소형주방가전(18.3%), 자동차용품(14.9%) 가격 상승률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가구에서는 소파에 이어 책상(13.7%), 식탁(10.3%), 싱크대(8.5%), 거실장(8.3%), 의자(7.3%), 침대(6.9%) 등의 오름세가 가팔랐다. 모두 전체 소비자 물가상승률(3.4%)보다 2~4배 높은 수준이다.

이런 품목의 지난해말 대비 가격 상승률은 책상이 13.7%로 집계된다. 이어 싱크대(12.4%), 식탁(10.6%), 거실장(8.3%), 소파(7.4%), 의자(7.0%), 침대(6.9%)순이다. 올해에만 이렇게 올랐다는 얘기다.

소파를 필두로 가구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것은 주요 가구업체가 잇달아 가격 인상에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한샘(009240)은 올해 상반기에 지난해보다 소파(유로 601 키안티)가격을 4% 올렸고 붙박이장(유로 601 키안티)은 7% 인상했다.

같은기간 현대리바트(079430)도 그란디오스 소파 가격을 28% 올렸다. 학생가구(뉴루디 1160 스틸책상)와 식탁가구(뉴루디 1160 스틸책상)도 각각 7%, 8% 올린 가격을 매겼다.

퍼시스(016800)도 내수 기준 책상 가격을 상반기에 지난해보다 4% 끌어올렸다. 퍼시스는 소파류 가격도 같은시점 4% 올렸다. 에이스침대(003800) 역시 원부자재가 상승으로 내수 기준 침대 가격을 지난해 9% 상승했다.

한샘 관계자는 “배송, 시공기사 인건비 상승에 따른 시공비 현실화와 대리점 영업지원을 위해 7월 중순 일부 홈퍼니싱(집꾸미기) 상품의 가격인상을 진행했다”며 “전체적으로 인상률은 3%대였다”고 말했다.

현대리바트 관계자는 “반기보고서에 나온 28% 인상은 올해 5인용(382만원)과 지난해 4인용(299만원)을 비교한 것”이라며 “같은 5인용 그란디오소 소파 가격으로 비교하면 368만원에서 382만원으로 3.8% 인상됐다”고 설명했다.

노희준 (gurazip@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