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주려고, 노모 모시려, 재택근무 하려...美 ‘뒷마당 별채’ 붐

성유진 기자 2023. 9. 7. 1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EEKLY BIZ] ‘뒷마당 주택’ 늘리기 위해 규제 풀고 보조금도 듬뿍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미국 스타트업 사마라의 50㎡(약 15평) 규모 ‘뒷마당 주택(ADU)’. /사마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사는 베티 슈디(70)씨는 6년 전 아들 부부에게 마당 한쪽을 내줬다. 마당에 있던 낡은 차고를 37㎡(약 11평) 규모 스튜디오(원룸) 주택으로 개조해 아들 부부가 거주할 수 있게 했다. 주방과 욕실도 따로 갖췄다. 슈디씨는 뉴욕타임스에 “가족들이 가까이 살면서도 각자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미국에선 슈디씨네 별채 같은 집을 보통 ‘뒷마당 주택’이라고 하거나, 연로한 부모를 모신다는 뜻에서 ‘할머니 아파트’라고 부른다. 정확한 명칭은 ‘보조 주거용 시설(Accessory Dwelling Unit·ADU)’이다. 보통 40~90㎡ 정도 크기의 독립 공간으로, 침실·욕실·주방 같은 기본 공간을 갖추고 있다. 본채에 붙여 짓기도 하고, 별도 주택으로 건축하기도 한다.

미국 건축가 일리아나 쉰더가 자신이 설계한 워싱턴 DC의 ADU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요즘 미국에선 이런 뒷마당 주택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값과 임대료가 치솟자 지방자치단체들이 저렴한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ADU 관련 규제를 대거 풀고 있기 때문이다. 집주인들은 부모나 자녀에게 독립된 공간을 줄 수 있거나, 남에게 빌려줘 임대 수익을 올릴 수 있어 환영하고 있다.

집값 급등 대안으로 부상

뒷마당 주택에 가장 적극적인 지역은 캘리포니아주다. 늘어난 인구에 비해 주택 공급은 지지부진하자 대안으로 ADU 확대를 꺼내 들었다. 주 정부는 2017년부터 ADU를 지어도 되는 부지 최소 기준과 주차 공간 확보 같은 규제를 차례로 완화했다. 건축 허가를 받는 데 걸리는 기간을 반으로 줄였고, 최대 4만달러의 보조금을 주는 정책까지 도입했다. 캘리포니아의 ADU 건축 허가 건수는 2016년 1200여 건에서 작년 2만3700여 건으로 20배 가까이 뛰었다.

캘리포니아뿐 아니라 2017년 이후 오리건주·메인주·코네티컷주 같은 주 단위부터 시애틀·캔자스시티를 포함한 시 단위까지 ADU를 더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잇달아 통과시켰다. 시애틀에서는 지난 2019년 규제를 완화할 때 ADU 허가 건수가 280건이었지만, 작년에는 988건으로 3배 이상으로 늘었다.

그래픽=김의균

앞다퉈 ADU 장려에 나선 건 그만큼 주택난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주택금융회사 프레디맥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미국에는 판매용과 임대용을 합쳐 주택이 380만채 부족하다. 이런 여파로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 레드핀 조사에서 미국 중위 주택 가격은 지난 7월 42만1774달러(약 5억5500만원)로 4년 전과 비교해 40% 급등했다. 같은 기간 임대료도 25% 올랐다.

할머니부터 성인 자녀까지 이용

미국인들이 별채를 짓는 주된 목적은 가족 거주를 위해서다. 워낙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기 때문에 월세를 내기 어려운 ‘캥거루족’들이 부모에 얹혀 살고 있는데, 이런 자녀를 위해 부모들이 별채를 지어준다.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18~29세 성인 가운데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절반에 달했다. 손자·손녀를 돌보기 위해 자녀와 집을 합치기도 한다.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사는 보나 다 실바씨는 딸이 아이를 낳자 기존 집을 팔고 부지가 더 넓은 집을 사들여 ADU를 지었다.

스타트업 코티지가 캘리포니아주의 한 주택 마당에 지은 ADU. /코티지

고령 부모를 모셔오기 위해 ADU를 짓거나, 더는 큰 집이 필요하지 않은 1인 고령 가구가 본채를 임대하고 별채에 거주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은퇴자협회(AARP)가 ADU 지원 법안에 적극적인 이유다. 재작년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AARP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0%가 “필요하다면 (본채를 가족 등에게 주고) ADU 입주를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25%는 “ADU를 지어 간병인에게 주겠다”고 했다.

팬데믹을 거치며 재택근무가 늘어난 것도 ADU가 인기를 끄는 배경이 됐다. 뒷마당에 업무용 별채를 짓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조립식 주택을 파는 ‘스튜디오 쉐드’는 “가장 인기 있는 제품 중 하나가 ‘뒷마당 사무실용’ 주택”이라고 했다. 이 회사 고객들은 홈페이지에 ‘사무실 월세를 내는 대신 ‘뒷마당 사무실’을 구입해 돈을 절약했다’ 등의 후기를 남겼다.

물론 임대용으로 ADU를 사용하는 집주인도 많다. ADU 건축업체 코티지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서 ADU 한 채를 추가하는 데 드는 비용은 20만~40만달러이며, 샌프란시스코만 지역 기준으로 2400~3000달러 정도의 월세를 받을 수 있다. 7~8년 정도 임대하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셈이다.

ADU 내부 모습. /사마라

ADU 업체들은 “집을 팔 때도 30~35% 정도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한다. 지자체들은 ADU 임대료가 일반 주택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 UC버클리 터너주택혁신센터는 재작년 “중위 소득의 80% 미만을 버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ADU도 많다”고 했다.

에이비앤비 창업자도 별채 사업

ADU 인기가 높아지자 관련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도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에어비앤비 공동창업자 조 게비아가 작년 시작한 ‘사마라’가 대표적이다. 사마라는 ADU 허가부터 설치까지 모든 과정을 대행해주는 회사다. 게비아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에선 5가구 중 1가구꼴로 2세대 이상의 성인이 함께 살고 있고 팬데믹을 거치며 재택근무도 늘었다”며 “집에 대한 사람들의 가치관이 바뀌면서 ADU가 대중화하고 있다”고 했다.

마당 창고 자리에 들어선 ADU. 거실과 침실, 주방, 화장실을 모두 갖추고 있다. /코티지

사마라 외에도 코티지, 홈스테드 같은 다양한 업체가 최근 몇 년 새 ADU 시장에 뛰어들었다. 아마존과 홈디포,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업체도 ADU로 쓸 수 있는 조립식 주택 키트를 팔기 시작했다. 2만달러 아래로 저렴한 모델도 있다. 다만 전기·조명 설비나 욕실·주방 시설이 없고, 조립과 페인트칠 같은 마무리 작업까지 구매자가 알아서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주로 사무용·휴식용 정도의 간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건폐율과 용적률, 주차 대수 같은 법적 기준을 충족하고 지자체로부터 증축 허가를 받으면 별채를 지을 수 있다. 하지만 국토가 넓은 미국과 달리 별채를 지을 만한 공간을 확보한 주택이 많지는 않다. 서용식 수목건축 대표는 “집에 온 손님을 재우거나 에어비앤비 임대용으로 활용하려고 별채를 짓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의균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