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카메라] "많이 잡아도 문제"…버려지는 꽃게, 뒤처리도 골치

함민정 기자 2023. 9. 6. 21: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서해에선 본격적인 꽃게잡이가 시작됐는데 어민들은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고 합니다. 상품성이 없어 버려지는 꽃게가 워낙 많기 때문입니다.

왜 그런 건지, 밀착카메라 함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날 바다로 나갔던 배들이 지금 막 항구에 들어왔습니다.

싱싱한 꽃게를 옮기고 있는데요, 배에서 옮긴 꽃게로 트럭이 가득 찼습니다.

트럭을 따라가봤습니다.

이곳은 꽃게 선별장입니다. 이렇게 신선한 꽃게도 있는 반면에, 상품성이 떨어진 것들은 이쪽에다가 버리게 되는데요, 보시다시피 입 주면이 거멓고 그리고 만졌을 때 물렁물렁합니다. 지금 날씨가 덥다보니 폐기물 업체가 이걸 가져가기 전에 냄새도 나고 파리도 꼬이고 있습니다.

상품성이 없는 꽃게는 폐기물 처리 업체로 옮겨집니다.

이 항구에서만 하루에 많게는 10톤이 넘을 때도 있습니다.

양이 워낙 많아 다 치우지 못할때도 있습니다.

[태안군청 관계자 : 1일 300㎏ 이내를 생활폐기물로 보는데 (꽃게 폐기물이) 300㎏ 이상 나왔고 도저히 (지자체에서) 수용 못할 양이니까 (업체에) 위탁 처리가 된 거죠.]

전문가들은 올해 서해 수온이 섭씨 2도 정도 낮았던게 꽃게가 제대로 크지 못한 이유 중 하나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꽃게가 단단하게 성장할 때까지 잡지 말아야 한단 목소리도 있습니다.

현재 서해 5도 해역 일부를 제외하고, 꽃게 금어기는 6월 21일부터 8월 20일까지입니다.

이 금어기를 뒤로 더 늘려 꽃게가 클 시간을 주자는 겁니다.

[권대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연구관 : 5월부터 8월까지 산란기가 지나면 성장을 위해 탈피를 하게 됩니다. 당장 껍질을 구성하는 영양분 섭취가 완벽하지 않아가지고 물렁게가 되거든요.]

하지만 이게 정답은 아닙니다.

[백종현/꽃게어선 선주 : (금어기) 늦추면 꽃게는 좋아지는데 빨리 끝날 수 있다고. 짧은 시간밖에 (어획이) 안 될 수 있어.]

해양수산부는 먼저 폐꽃게 발생 요인 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 : 여름철 수온하고 물렁게 비율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금어기 조정도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일부 버려진 꽃게는 비료를 만드는데 쓰이는데, 재활용하는 양을 더 늘릴 필요도 있습니다.

[수산업자 :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서 액비(액체비료) 생산을 하든지 아니면 어떠한 (폐꽃게) 처리 시스템을 좀 빨리 만들어서…]

꽃게는 많이 잡히고 있지만, 정작 이곳 사람들은 웃지 못하고 있습니다. 버릴 수밖에 없는 꽃게가 왜 많은지, 어민도 꽃게도 보호할 방법은 없는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겁니다.

(작가 : 강은혜 / VJ : 김원섭 / 인턴기자 : 김나연)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