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전국 첫 공영자전거 '창원 누비자'…"더 편하게 달라졌네"

정종호 2023. 9. 6. 1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딸깍. 대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 최초 공영자전거인 경남 창원시의 '누비자' 이용이 이전보다 훨씬 편리해졌다.

이후 누비자 QR 코드를 카메라로 인식하니 대여가 완료됐다.

실제 이날 오전 중앙동 한 누비존에서 자전거를 반납하고 있던 60대 A씨는 "대여 반납 방식이 바뀌어서 좋고, 등록 카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더 좋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대여·반납 손쉽게…'도난 걱정 없이 정차' 임시 잠금 기능도
기존 등록 카드도 사용 가능…취약계층·노령층도 변함 없이 이용
공유형 플러스 누비자 [촬영 정종호]

(창원=연합뉴스) 정종호 기자 = "딸깍. 대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 최초 공영자전거인 경남 창원시의 '누비자' 이용이 이전보다 훨씬 편리해졌다.

창원시가 지난 4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QR형 단말기가 부착된 '공유형 플러스 누비자' 3천700대를 전면 도입했기 때문이다.

이 공유형 플러스 누비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쉽게 대여·반납이 가능한 게 큰 특징이다.

선선한 가을바람이 부는 6일 오전. 기자가 성산구 중앙동에서 의창구 도계동에 이르는 약 5㎞ 거리의 출근길에 직접 달라진 누비자를 이용해봤다.

스마트폰에서 누비자 앱을 내려받고 이용권을 결제한 후 터미널(누비존)에 있는 누비자 잠금장치 상단 파란 단추를 눌렸다.

이후 누비자 QR 코드를 카메라로 인식하니 대여가 완료됐다.

앱 다운로드에서 대여까지 5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기존 누비자 대여·반납이 키오스크나 회원 카드로만 가능했던 걸 고려하면 무척 간편해진 시스템이다.

공유형 플러스 누비자 대여 시연 [창원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여한 누비자를 타고 이동한 출근길은 상쾌했다.

자동차로 15분 소요되는 거리가 약 40분으로 길어졌지만, 날씨가 최근 들어 비교적 선선해졌고 누비자 위에서 바람을 맞으며 이동하니 시원하다고 느낄 정도였다.

이런 점 덕분인지 이른 아침에도 누비자를 타는 시민이 자주 목격됐다.

목적지 도착 후 누비자를 반납하는 과정도 간편했다.

누비존에 자전거를 주차한 후 안장 뒤에 있는 잠금장치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 끝이기 때문이다.

번거롭게 스마트폰으로 다시 앱을 켤 필요가 없었다.

달라진 누비자 체험 취재 (창원=연합뉴스) 6일 오전 경남 창원시 성산구에서 취재진이 직접 달라진 누비자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2023.9.6 jjh23@yna.co.kr [독자 촬영]

도입된 누비자의 또 다른 특징은 기존에 없던 '임시 잠금 기능'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화장실을 가는 등 누비자를 잠시 멈추고 싶을 때도 도난 걱정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없이 기존 누비자 이용 시 쓰던 등록 카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창원시 관계자는 "스마트폰이 없거나 사용하기 어려워하는 취약 계층이나 노령층도 변함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하려고 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오전 중앙동 한 누비존에서 자전거를 반납하고 있던 60대 A씨는 "대여 반납 방식이 바뀌어서 좋고, 등록 카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더 좋다"고 말했다.

창원시는 이 공유형 플러스 누비자를 연말까지 300대, 내년 중 750대를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다.

또 연말까지 누비존을 기존 284곳에서 500곳으로 확대해 누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생활 밀착형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강화할 방침이다.

누비자를 타고 있는 한 시민 [촬영 정종호]

jjh23@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