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 시기 말벌 주의보…“벌쏘임 9월에만 1,600여 명”

송국회 2023. 9. 3. 21: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추석 앞두고 벌초 계획하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벌 쏘임 조심하셔야겠습니다.

말벌 개체 수가 급증하고, 공격성도 강해지는 시기인데요.

지난해 9월에만 천 명 이상이 벌 쏘임 사고를 당했습니다.

송국회 기잡니다.

[리포트]

구급대원이 의자에 누운 환자에게 응급 처치를 시작합니다.

지난달 31일, 밭에서 일하던 농민이 말벌에 얼굴 등을 쏘여 호흡 곤란 증세로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무슨 벌인지 혹시 아세요? (말벌) 아 말벌이에요?"]

벌 활동이 왕성해진 여름철, 최근 두 달 새 3천여 명이 벌 쏘임 사고를 당했고, 7명이 숨졌습니다.

사고는 주로 벌 서식지 주변의 논밭이나 주택가 등에서 일어났습니다.

[최승권/충북 청주서부소방서 119구조대 : "아파트나 상가 건물과 같이 사람이 많은 곳에서도 신고가 많이 들어옵니다. 직접 제거하지 마시고 (119로 신고하세요.)"]

특히, 추석 전 벌초 시기인 이달부터는 말벌 쏘임을 조심해야 합니다.

개체 수가 급증하고 벌집 크기도 커져 집을 지키려는 공격성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9월 한 달에만 벌초객 등 1,600여 명이 벌에 쏘여 병원으로 실려 갔습니다.

말벌은 사람들 눈에 잘 띄지 않는 땅 속이나 수풀 안에 벌집을 짓는 만큼 벌초를 하기 전 5분 정도 주변에서 말벌 움직임을 관찰해야 합니다.

또 반드시 흰색 옷과 모자를 쓰고, 벌집을 건드렸다면 최소 20미터까지 벗어나야 합니다.

[최문보/경북대학교 식물방역대학원 초빙교수 : "천적 방어가 목적이지 공격이 목적이 아니거든요. 20 미터 이상 벗어나면 거의 90~95% 벌들이 다 돌아가요."]

소방 당국은 벌에 쏘일 경우 심하면 1시간 이내 심정지가 올 수 있다며 스스로 병원을 가기보다 119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송국회 기자 (skh0927@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