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뮤츠 레이드 "전설의 위엄을 느껴라"

윤종근 객원기자 2023. 9. 2. 16: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대 최고난도 자랑…최초 전설 레이드인 만큼 솔로 클리어 불가능

포켓몬스터 9세대 스칼렛·바이올렛에 포켓몬스터 대표 전설의 포켓몬이자 1세대 진 최종 보스인 '최강의 뮤츠'가 스칼렛·바이올렛 최초 전설의 레이드로 등장했다.

뮤츠는 1세대 레드, 그린 버전에 등장한 전설의 포켓몬이다. 첫 환상의 포켓몬인 뮤의 유전자를 조작해 탄생한 포켓몬이라는 배경을 지닌다. 해당 시리즈 전설의 포켓몬은 프리저, 썬더, 파이어가 공식적이지만 숨겨진 전설의 포켓몬 뮤츠가 진 최종 보스로 인식됐다.

첫 전설의 포켓몬 레이드로 높은 난도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했다. 아니나 다를까 솔로 플레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0턴부터 '명상'과 함께 베리어를 사용한다. 랭크 다운 기술은 베리어 상태에선 무효화되기 때문에 기술의 부가 효과로만 랭크를 내릴 수 있다.

또한 명상을 턴마다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높은 특수 공격과 특수 방어 랭크를 가진다. 혼자서는 쌓이는 특수 방어 랭크를 내릴 수 없다. 만약 내린다 하더라도 강력한 특수 공격을 버틸 수 없다.

최강의 뮤츠는 일반 포켓몬이 아닌 함께 등장한 '뮤'를 사용해야 클리어 가능하다. 뮤는 이벤트를 통해 '이상한 소포'로 받을 수 있다. 뮤만이 레이드 입장 시 추가적인 버프를 받기 때문에 클리어를 위해선 필수다.

지금껏 등장한 최강의 레이드와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파티 플레이를 통해서만 클리어가 가능하다. 첫 전설 포켓몬 레이드로 얻기 힘든 뮤와 뮤츠를 획득할 수 있으니 어렵더라도 참여를 권장한다.

 

최강의 뮤츠 "매턴 강해지는데 2 페이즈까지?"

최강의 레이드에선 기존 타입과 다른 테라스탈이지만 뮤츠는 타입과 동일한 에스퍼 테라스탈로 등장했다. 에스퍼 타입은 메이저한 고스트, 악 타입과 보기 힘든 벌레 타입에 약점을 찔린다. 악 타입은 완벽한 에스퍼 타입의 카운터로 공격은 2배 방어 시 무효화로 사용하기 좋다.

하지만 악 타입의 약점인 격투 기술 '파동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악 타입은 사용할 수 없다. 고스트 타입은 매턴 명상으로 쌓이는 특수 방어를 뚫을 물리 기술이 적어 클리어가 힘들다. 이로 인해 확정적인 랭크 다운 부가 효과와 HP 회복이 가능한 벌레 타입이 클리어에 가장 좋은 타입이다.

뮤츠 전용기 '사이코브레이크'는 특수 기술임에도 물리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특수 방어가 높아도 방어가 낮다면 쉽게 기절한다. 따라서 대 특수 막이 '해피너스'조차 사용할 수 없다. 강력한 버프를 받고 시작하는 뮤만이 이를 상대할 수 있다.

뮤츠 레이드와 다른 최강의 포켓몬 레이드의 차이점은 2페이즈 유무다. 뮤츠는 베리어를 전부 깎아내면 '잠자기'를 통해 HP를 회복해 2페이즈를 시작한다. 또한 '유류열매'를 지니고 있어 '수면' 상태 이상을 바로 해제하여 베리어가 없는 풀 HP 뮤츠를 상대해야 한다.

이로 인해 버프를 받아 높은 내구를 가지게 된 뮤를 제외하곤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뮤는 모든 '기술머신'을 사용 가능한 포켓몬이다. 랭크 업, 다운과 다양한 부가 효과를 지닌 기술, 치유, 등 딜러부터 서포터까지 전부 가능하기 때문에 4 뮤 파티만이 클리어 가능하다.

 

파티 플레이 "뭐든지 가능한 환상의 포켓몬"

파티 구성은 2딜러, 2서포터가 안정적이다. 기존 1딜러 3서포터로 클리어하기엔 딜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서포터와 딜러 모두 '벌레의저항'을 채용한다. 공격 후 상대 특수 공격 1랭크 다운시키는 기술로 매턴 명상으로 쌓이는 특수 공격 랭크 다운 시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는 특수 공격 대미지를 감소시키는 '빛의장막'과 파티 전체를 회복시키는 '생명의물방울'을 채용한다. 딜러는 공격 랭크 업 기술인 '칼춤'과 공격 후 HP를 회복하는 물리 공격 기술 '흡혈'을 사용한다. 같은 기술을 연속으로 사용하면 위력이 오르는 '메트로놈'을 지니면 더 강력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서포터는 빛의장막 사용 후 벌레의저항을 반복 사용해 특수 공격 랭크를 지속적으로 다운시킨다. 파티 HP를 확인하며 중간중간 생명의물방울을 사용하면 된다. 노력치는 HD252로 설정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사이코브레이크를 대처하기 위해 HB252를 선택하면 '냉동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져 '빙결' 상태 이상에 걸릴 수 있어 추천하지 않는다.

또한 '일렉트릭필드'를 채용한다면 2페이즈를 스킵할 수 있다. 일렉트릭필드는 부가 효과 잠들지 않는다를 부여해 뮤츠의 잠자기 사용을 막을 수 있다. 베리어가 깨지기 직전 일렉트릭필드를 사용한다면 HP 회복을 막아 클리어 타임을 크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딜러는 칼춤과 벌레의저항을 반복해서 사용하여 공격 6랭크를 달성 후 흡혈을 연속해서 사용한다. 랭크 초기화되면 다시 반복하면 된다. 최강의 뮤츠 테라 레이드 배틀은 9월 1일부터 9월 18일까지 진행된다. 상당히 넉넉한 기간으로 뮤를 육성할 시간이 충분하다. 초회 보상과 중복 보상 차이가 심해 중복 참여는 권장하지 않는다.

 

◎ 최강의 뮤츠 파티 플레이 공략



딜러 뮤 : 칼춤 → 벌레의저항 → 칼춤 → 벌레의저항 → 칼춤 → 흡혈 → 벌레 테라 → 흡혈 반복(랭크 초기화 시 칼춤부터 다시 반복)



서포터 뮤 : 빛의장막 1명, 벌레의저항 반복. 파티 HP에 따라 생명의물방울 사용. 일렉트릭필드 사용 시 뮤츠의 잠자기를 막을 수 있다.



 

presstoc01@gmail.com

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