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받는 나이 68세까지 올라가나…재정안정화 방안 공개

민서영 기자 2023. 9. 1. 1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59세인 가입상한연령도 조정 제안
서울 중구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연합뉴스

‘연금 지급개시연령 상향’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1일 공청회에서 발표한 재정안정화 방안 중 하나다. 재정계산위는 의무가입 상한연령도 지급개시연령에 맞춰 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금 지급개시연령은 1998년 연금개혁에 따라 2013년부터 2033년까지 만 60세에서 65세로 5년에 1세씩 상향 조정되고 있다. 올해 기준 63세인 지급개시연령은 10년 뒤인 2033년 2세 더 늘어나 65세가 된다.

재정계산위는 이날 추가적인 재정안정화 조치로 2033년 이후에도 5년마다 1세씩 상향해 최종적으로 68세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올해 발표된 제5차 재정계산 기본가정에 따르면 지급개시연령을 68세로 조정할 경우 수지적자 시점을 2041년에서 2043년으로 2년 늦출 수 있고, 기금 소진 시점도 2055년에서 2059년으로 4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계산위는 보험료율과 기금투자수익률 등을 조합한 총 18가지의 재정안정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일부 시나리오에는 연금 지급개시연령을 2033년 이후 5년마다 1세씩 상향해 68세로 조정하는 조건이 붙어 있다. 예를 들어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5%까지 올리고 기금투자수익률 1%포인트 상향한 데 더해 지급개시연령까지 68세로 올리면 기금소진시점은 2093년까지 연장된다.

재정계산위는 현재 59세인 의무가입 상한연령을 지급개시연령에 맞춰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보고서에 담았다. 현 연금 체계에서 가입자가 받는 연금 급여는 가입기간이 길수록 많아진다.

김용하 재정계산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사전설명회에서 “가입연령 상한을 올리는 게 재정의 안정에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가입자가) 연금 급여를 더 많이 받게 하기 위해 선택의 기회를 넓히자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의무가입 상한연령을 지급개시연령에 맞추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정년과 의무가입 연령, 수급개시 연령을 일치시키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현재 법정 정년인 만 60세 이후엔 64세까지 임의계속가입을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보험료를 추가 납부할 의무가 없으므로 피고용인 신분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고 있다.

재정계산위는 의무가입 상한연령을 순차적으로 연금 수급개시 시점(2033년 65세)과 일치시키자고 제안했다. 의무가입일 땐 사용자도 절반의 보험료를 내야 한다. 사용자 반발 등을 고려해 재정계산위는 2033년까지는 과도기적으로 노사 합의(지역가입자는 본인 의사)에 따라 가입을 중단할 수 있게 하자고 했다.

유정엽 한국노총 정책본부장은 이날 공청회에서 토론자로 나와 “현재도 연급 수급개시연령까지 소득공백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정년 연장 대책이 우선돼야 한다”며 “68세로 상향하는 시나리오를 먼저 제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의무가입 연령을 상향하되 노사 합의로 하자는 데 대해선 “이러면 99%의 사업장은 보험료 납입을 포기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소득대체율은 유지한 채 보험료만 인상되는 상황에서 연금 급여까지 더 늦게 받을 경우 가입자들의 수용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스란 복지부 연금정책국장은 “연금개혁 방향이라는 게 합리성도 중요하지만 국민 설득과 수용성도 중요한 과제”라며 “(최종 개혁안에는) 소득대체율 인상 등 소득보장 관련 내용도 함께 언급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알쓸연금②]연금보험 ‘더 오래’ 내면 낼수록 이익이라고?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7121436011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