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밤 하늘에 ‘블루문’ 두둥실…한 달에 두번 뜨는 보름달

2023. 8. 31. 13: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 해가 지면 블루문이 뜬다.

블루문(blue moon)은 양력 날짜로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현상에서, 두 번째로 뜨는 달을 일컫는 말로 실제 달의 색깔과는 무관하다.

어원으로 보면, 'blue'와 같은 발음인 옛 영어 단어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betrayer moon)이라 칭한 게 지금과 같이 불길한 두 번째 보름달인 '블루문' 개념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시칠리아 하늘에 뜬 블루문. 사진=Gianni Tumino

오늘 해가 지면 블루문이 뜬다. 블루문(blue moon)은 양력 날짜로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현상에서, 두 번째로 뜨는 달을 일컫는 말로 실제 달의 색깔과는 무관하다. 달의 공전주기는 27.3일이고, 달의 위상변화 주기는 29.5일이다. 그런데 양력에서 한 달은 2월을 제외하고 30, 31일이다. 이 때문에 한 달의 1일경에 보름달이 뜨면 30일이나 31일경에 다시 보름 달이 뜨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보름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보는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는 보름달을 불길한 것으로 인식하여 한 달에 두 번이나 뜨는 보름달을 재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블루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어원으로 보면, ‘blue’와 같은 발음인 옛 영어 단어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betrayer moon)이라 칭한 게 지금과 같이 불길한 두 번째 보름달인 ‘블루문’ 개념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위의 사진은 지난 8월 1일 달 궤도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 근처에서 태양이 지면서 뜬 보름달을 찍은 것이다. 평균보다 밝은 달 원반이 이탈이아 남쪽 섬 시칠리아 라구사의 동쪽 지평선을 따라 빽빽한 구름 둑 위로 이 드라마틱한 월출 장면에서 포착되었다. 한 달에 두 번째 보름달로 정의되는 블루문은 2~3년에 한 번만 발생한다. 그 이유는 달의 위상이 완전한 주기를 거치는 데 거의 한 달에 해당하는 29.5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밤 해가 지면서 떠오르는 8월의 두 번째 보름달은 햇빛이 산란되어 달 원반이 붉게 변하더라도 블루 문으로 불려질 것이다. 구름이 없다는 예보가 있으니 블루문을 보기가 적기일 듯하다. 보너스도 있다. 오늘 밤 8월의 블루문 옆에서는 밝게빛나는 토성을 보게 될 것이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