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소비자원 "추석 벌초 시기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보"

이슬기 2023. 8. 31. 11: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은 31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본격적인 벌초 시기를 맞아 '예초기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국표원과 소비자원 안전 수칙에 따르면 예초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안면 보호구, 무릎보호대, 작업화 등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최근 3년(2020∼2022년)간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예초기 안전사고는 총 219건이다.

국표원과 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온라인 통신판매중개사에게 예초기 판매 업체 교육 등을 요청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석 벌초 시작된 제주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31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의 한 묘에서 시민들이 벌초하고 있다. 2023.8.31 jihopark@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은 31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본격적인 벌초 시기를 맞아 '예초기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국표원과 소비자원 안전 수칙에 따르면 예초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안면 보호구, 무릎보호대, 작업화 등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또 주변 이물질이 튀어 오르거나 예초기 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덮개를 장착한 후 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사용 전 칼날의 상태와 부착 상태, 작업봉 결합 여부, 배터리 안전 등을 점검하는 한편 작업 반경 15m 이내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최근 3년(2020∼2022년)간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예초기 안전사고는 총 219건이다. 지난해에만 전년(40건) 대비 약 82.5% 증가한 77건이 접수됐다.

예초기 안전사고 현황을 보면 성묘 전 벌초 작업이 집중되는 9월(73건·33.3%)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대부분 남성(183건·83.6%)이 피해를 봤다. 연령대는 60대(31%), 50대(29.6%), 70대(17.6%) 순으로 나타났다.

국표원과 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온라인 통신판매중개사에게 예초기 판매 업체 교육 등을 요청했다. 현재 제품을 판매 중인 사업자에게는 주의문구 표시를 강화하도록 권고했다.

wis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