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 정신·업적 재조명"… 여야 초당적 목소리

김태훈 2023. 8. 31. 1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안중근 의사 등 과거 중국에서 활약했던 항일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일부러 지운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뜻있는 국회의원들이 안 의사의 정신과 업적을 재조명하고 나섰다.

일각에선 마침 중국이 안 의사를 비롯한 우리 항일운동가들의 중국 내 발자취를 자꾸만 지우는 가운데 여야가 힘을 합쳐 이를 막아내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바람을 전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월1일 국회에서 안 의사 유묵 전시회
中, 우리 항일운동가 흔적 지우기 나서
"여야, 정쟁 멈추고 힘 합쳐 대처해야"
중국이 안중근 의사 등 과거 중국에서 활약했던 항일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일부러 지운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뜻있는 국회의원들이 안 의사의 정신과 업적을 재조명하고 나섰다. 일찍이 ‘동양평화론’을 통해 한·중이 힘을 합쳐 동양과 세계의 평화를 이룩해 나가자고 한 안 의사의 제안에 중국이 응답하는 계기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중국 랴오닝성 뤼순감옥 구지(舊址) 박물관 내 안중근 의사 전시실. 지난 6월 보수공사를 이유로 폐쇄돼 현재는 관람이 불가능하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31일 안중근의사기념관에 따르면 안 의사가 중국 뤼순감옥에서 남긴 유묵들이 9월1일부터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전시된다. 오는 9월2일이 안 의사 탄신 144주년이란 점을 기리기 위해서다. 안 의사는 1879년 9월2일 황해도에서 태어나 일찌감치 항일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1909년 10월26일 중국 하얼빈역에서 일제의 조선 침략을 주도하고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했다. 이후 일본 사법당국에 넘겨져 사형 판결을 받고 이듬해인 1910년 3월26일 순국했다.

이번 행사는 특별히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봉환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이 함께한다. 공동 대표인 국민의힘 김학용,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과 공동 간사인 국민의힘 윤주경, 민주당 양기대 의원을 비롯해 여야 의원 163명이 함께하는 초당적 모임이다. 여야 정쟁의 격화 속에서도 소속 정당과 무관하게 안 의사의 정신과 업적 재조명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정치인들의 행태가 모처럼 긍정적이다.

전시되는 유묵은 ‘국가안위 노심초사’(國家安危 勞心焦思: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고 애태운다) 그리고 ‘지사인인 살신성인’(志士仁人 殺身成仁: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은 옳은 일을 위해 목숨을 버린다) 두 점이다. 안 의사가 이토 사살 후 뤼순감옥에 갇혀 있으면서 남긴 유묵으로 알려져 있다. 둘 다 보물로 지정돼 있으며 국회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랴오닝성 뤼순감옥 구지(舊址) 박물관 내 건물에 ‘안중근 의사 취의지’(就義地·순국 장소)라는 팻말이 내걸려 있는 모습(왼쪽 사진). 이 박물관은 1909년 일제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 의사가 순국 때까지 갇혀 있었던 옛 뤼순감옥을 개조해 만들었다. 오른쪽 사진은 최근 찾은 박물관의 해당 건물에서 안 의사 관련 팻말이 사라진 모습(빨간 선). 뤼순=연합뉴스
일각에선 마침 중국이 안 의사를 비롯한 우리 항일운동가들의 중국 내 발자취를 자꾸만 지우는 가운데 여야가 힘을 합쳐 이를 막아내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바람을 전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옛 뤼순감옥을 개조해 만든 ‘뤼순감옥 구지(舊址) 박물관’ 내 별채 건물에는 얼마 전까지도 ‘안중근 의사 취의지’(就義地·순국 장소)라는 팻말이 내걸려 있었다. 그런데 최근 찾은 박물관의 해당 건물에선 안 의사 관련 팻말이 사라지고 없었다.

그뿐 아니다. 같은 박물관 내 ‘안중근 의사 전시실’은 6월부터 관람이 불가능한 상태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의 윤동주 시인 생가의 경우도 7월 중순부터 문을 닫았다. 중국 측에선 “보수공사 때문”이라고 하지만 석연치 않다. 두 곳 모두 재운영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를 두고 최근 한·중관계가 소원해진 점을 들어 중국 측이 서운함을 표시하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외교부는 “유관 기관과 협업해 중국 내 보훈사적지 관련 동향을 점검하고 중국 측과 협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의 노력만으론 한계가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여야 의원들이 정쟁을 멈추고 중국 내 항일유적지 실태를 대대적으로 점검한 뒤 정부와 공조해 중국 측에 적극 맞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