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honey] 학문과 구도, 우정과 열정의 성지…다산과 백련사

현경숙 2023. 8. 30.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만덕산 자락에서 강진만을 굽어보다

(강진=연합뉴스) 현경숙 기자 = 후드득후드득. 새벽 예불을 올리는 여승의 낭랑한 독경 소리는 백련사 대웅전 추녀에서 떨어지는 굵은 빗줄기를 뚫고 날아가 다산을 한 바퀴 돈 뒤 강진만 위로 울려 퍼졌다.

강진만 운해[사진/백승렬 기자]

강진만을 울리는 새벽 예불

똑 똑 똑. 징∼ 징∼. 목탁, 범종 소리는 우주의 섭리를 일깨우려는 듯 절집에서 밤을 지낸 과객의 가슴 속을 파고들었다. 전라남도 강진 만덕산(408.6m)에 자리 잡은 천년고찰 백련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고요하고 아늑했다.

다산학의 산실이었던 다산초당이 백련사에서 멀지 않다. 역사적인 두 장소는 약 800m의 산길로 이어져 있었다. 달빛 밟는 밤이라도 20∼30분이면 지날 수 있을 듯하다. 만덕산은 야생차 나무가 많아 다산(茶山)이라 불리기도 한다. 만덕산에는 또 다산이라는 이름의 작은 봉우리가 있다. 이 작은 다산에 있던 초가에서 10여 년을 보내며 실학을 집대성했던 정약용(1762∼1836)은 이 봉우리 이름을 자신의 아호로 삼았다.

네댓 새 계속된 장마는 백련사에서 초당으로 이어지는 숲속 오솔길을 운무로 채워 놓았다. 초당 탐방객들은 비에 개의치 않고 오솔길 다른 쪽 끝에 있는 백련사를 찾았다. 백련사 방문객들도 초당 쪽으로 향했다. 학문의 성소와 구도의 성지는 그렇게 이어지고 있었다.

만덕산 자락에 자리 잡은 백련사[사진/백승렬 기자]

책과 벗이 이끈 인간 승리

매월당 김시습, 율곡 이이, 정조 대왕 등과 함께 조선의 천재로 거론되는 인물이 다산 정약용이다. 정약용은 일곱 살 때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렸으니, 멀고 가까움이 다르기 때문이라네'(小山蔽大山 遠近之不同)라는 시를 지었다. 가까이 있는 작은 산이 멀리 있는 큰 산보다 크게 보이는 것은 거리 때문이라는 원리를 밝힌 문장이다.

네 살 때 천자문을 배우고 열 살에 자작 시집을 낼 만큼 총명했던 다산은 학문과 예술, 의학에 능했을 뿐 아니라 배다리, 수원화성, 거중기 등을 설계한 수학자, 과학자였다. 현대인들이 그에게 '조선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는 애칭을 선사한 이유다.

그의 주변에는 천주교도가 많았다. 1801년 천주교도를 박해한 사건인 신유사옥 때 처형된 정약종은 그의 셋째 형이며, 황사영 백서 사건의 발단이 됐던 황사영은 그의 조카사위였다. 황사영은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중국 베이징에 있던 프랑스 주교에게 편지를 보내 교회를 재건하고 포교의 자유를 얻기 위해 프랑스 함대를 파견해 조선 정부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발각됐다. 이 사건은 대대적인 천주교 신자 검거와 처형을 초래했다.

다산초당 본채[사진/백승렬 기자]

한국 천주교회를 창설한 주역으로 간주되는 이벽은 그 누이가 정약용의 큰형 정약현의 부인이다. 한국 천주교 사상 최초의 영세자인 이승훈은 정약용의 매형이었다. 둘째 형 정약전은 다산과 마찬가지로 천주교도로 지목돼 다산과 함께 유배형에 처해진다. 정약전은 어류생태학서인 '자산어보'의 저자이다.

조선에서 천주교가 도입되고 확산한 것은 서양 선교사들의 포교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대부분 조선인 스스로 교리를 배우고 귀의한 결과였다. 전쟁이나 포교에 의하지 않은, 자발적 천주교 수용은 세계 기독교사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유교, 불교 등 전통 사상 및 종교와 비교할 때 매우 이질적인 천주교가 조선 사대부와 민중 사이에 그처럼 빠르게 퍼져나간 이유는 무엇일까. 하느님 앞에서 모두가 평등하다는 사상에 내재한 신분철폐론, 천주교와 함께 전래한 서양 과학·기술 문명의 경이, 쇠락하는 조선 말기 사회의 개혁 필요성을 절감했던 지도층 일각의 변혁 의지에서 그 배경을 찾아본다.

강진에 1801년 유배돼 18년 동안 머물렀던 다산은 주막인 사의재, 고성사 보은산방, 아전 이학래의 집을 전전하다 1808년에야 다산초당에 안착했다. 저술 500여 권의 대부분을 초당 시절에 썼던 다산은 자신의 저작에 대해 "복숭아뼈가 세 번이나 구멍이 뚫리는 고통"이었다고 표현했다.

정약용 유배길 도중에 있는 주작산[사진/백승렬 기자]

다산이 좌절과 절망을 학문으로 승화시킬 수 있었던 것은 가까이에 책과 벗이 있었기 때문이지 아닐까 싶다. 강진에서 멀지 않은 해남에 있는 고산 윤선도의 고택인 녹우당에는 당시 2천여 권의 장서가 있었다. 그 속에는 동양 고전, 희귀본, 중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명저가 적지 않았다. 해남 윤씨 집안은 다산의 외가뻘이다. 학계 일각에서는 다산이 녹우당의 양서를 빌려 탐독하고, 이를 저술에 활용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백성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고자 했으며 목민관으로서 지속 발전의 가치를 추구했던 삶과 업적이 인정돼 정약용은 지난 2012년 동양인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선정됐다.

백련사 주지 혜장(1772∼1811)도 다산에게 큰 위안이었다. 해남의 큰 도량인 대흥사 대강사였던 혜장은 유교 경전에도 해박했고, 특히 주역에 관한 공부가 깊었다. "논어, 율려, 성리의 깊은 뜻을 잘 알고 있어 유학의 대가나 다름없었다"고 다산이 칭찬했던 혜장은 다산의 학문적 깊이에 감화돼 백련사에서 수시로 초당으로 내려가 다산과 교유했다. 혜장을 위해 문을 잠그지 않고 항상 열어 놓았다는 다산은 '봄날 백련사에 가 놀다'라는 시에서 '바다 끝에서 봄 만나니 나도 이제 늙었나 보다. 외진 마을 벗이 없어 중이 좋은 걸 알았다네'라고 읊었다.

혜장선사 초상[백련사 제공]

다산은 혜장을 통해 대흥사에 있던 초의선사(1786∼1866)와도 교류하게 된다. 학문에 두루 통달하고 시, 서에 능했던 초의는 한국의 다도를 정립한 인물이다. 한국의 다성(茶聖)으로 통하며, 차 전문서인 '동다송'(東茶頌)의 저자인 초의는 '불교의 선과 차의 세계가 둘이 아니다'라며 차 마시는 행위를 선의 경지로 끌어올렸다. 두 거장의 만남은 다산의 아들인 학연·학유 형제와 초의의 교분으로 이어지며, 초의는 이 형제를 통해 추사 김정희와 깊이 사귀게 된다. 제주도로 귀양 갈 때 해남에 들러 초의를 만났던 추사는 유배 기간 내내 초의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우정을 나누었다. 다산과 다산학은 강진, 해남 등 먼 바닷가 마을에 '학문 예술 문화의 고을'이라는 영예를 안겼다.

강진에는 다산 유적지를 연결한 '정약용 남도유배길'이라는 도보여행길이 조성돼 있다. 총 65.7㎞에 달하는 문화생태탐방로이다. 4개 코스로 구성된 이 길은 해남 북일면 장수마을에서 시작해 주작산, 주작산 흔들바위, 다산 사위 묘, 다산초당, 백련사, 이학래 생가, 사의재, 고성사 보은산방을 거쳐 월출산 천황사까지 이어진다. 다산은 대흥사의 승려들과 교류했다. 맏아들 학연은 혜장과 대흥사를 찾은 뒤 '유두륜산기'를 남겼다. 두륜산은 대흥사가 자리 잡고 있는 명산이다. 학연과 혜장은 주작산 넘어 대흥사를 방문했을지 모른다. 지금도 주작산에는 대흥사로 가는 길이 나 있다.

다산초당과 백련사

초당은 해남 윤씨 집안 소유의 조촐한 산정(山亭)이었다. 이곳에 머물도록 허락받은 다산은 비로소 안정을 찾고 후진 양성과 저술에 몰두할 수 있었다. 초당에서 목민심서 등 주요 저작이 완성되거나 기초됐다. 다산은 초당을 가꾸는 데 정성을 기울여 채소밭을 일구고, 연못을 넓히고, 연못 안에는 석가산이라고 이름 지은 작은 돌산을 쌓았다. 초당에는 다산이 기거하며 집필실로 썼던 곳인 동암, 제자들의 공간이었던 서암, 강학 공간으로 썼던 본채가 있다. 다산이 직접 돌에 새긴 '丁石'(정석)이라는 글자, 차 끓였던 부뚜막인 다조, 차 끓일 물을 길었던 약천, 석가산을 '다산 4경'이라고 일컫는다. 수식 없이 자기 성인 '丁' 자만 따서 새긴 '丁石' 글자는 다산의 군더더기 없는 성품을 보여준다.

백련사에서 바라본 강진만[사진/백승렬 기자]

다산의 제자들은 초당에서 스승의 지시에 따라 자료 수집, 정리, 정서, 편찬에 참여했다. 틈이 나면 다산은 계곡과 연못을 거닐고, 차를 마시며 풍광을 시로 읊었다. 초당은 유배자의 쓸쓸한 거처가 아니라 선비가 꿈꾸던 이상적인 공간이자 조선 시대 학술사에서 중요한 학문의 요람으로 거듭났다.

백련사는 고려 시대에 국사 8명을 배출하고, 불교 개혁 운동인 백련결사가 일어났던 곳이다. 만덕산에 폭 안겨 강진만을 내려다보고 있다. 천연기념물인 동백나무 숲, 대숲, 차밭이 빽빽이 도량을 둘러싸고 있다. 한때 전국 최대 규모의 사찰로서, 대중 800여 명이 거처했던 백련사는 옛 명성처럼 거대하거나 화려하지 않다. 대웅보전은 지난 6월 나라의 보물로 지정됐다. 대웅보전 현판 글씨는 조선 후기 명필 이광사의 작품이다. 백련사는 유구한 전통에 비해 규모가 크지 않으며, 고즈넉하고 정갈해 요즘 보기 드물게 '절 같은 절'의 느낌을 준다. 청담스님과 성철스님도 이곳을 거쳐 갔다.

조선 후기 명필 이광사가 쓴 대웅보전 현판[사진/백승렬 기자]

만덕산 정상인 깃대봉에 올라서니 내륙을 향해 길고 깊숙하게 들어온 강진만의 푸른 물결과 검은 갯벌, 초록빛 벼가 익어가는 해안 간척지가 찬연한 색의 조화를 이루며 시야에 가득 들어왔다. 조선 초 세종 임금의 둘째 형 효령대군은 왕위 계승에서 배제되자 정치를 멀리하고 승려가 됐다. 그는 땅끝 백련사에 8년 동안 파묻혀 지내며 간척 사업을 지도했다. 세종의 첫째 형인 양녕대군 역시 백련사에서 가까운 귤동마을에 거처한 적 있다.

2020년 현재 인구 3만3천여 명인 강진은 단지 한반도의 한 귀퉁이가 아니다. 역사, 학문, 종교, 문화의 유서가 깊은 문명의 현장이다. 백련사의 새벽을 깨우는 도량석을 주재하는 스님의 염불, 목탁과 범종의 맑은 소리는 이곳에서 하룻밤 몸과 마음을 쉬어 간 중생의 기억 속에 그윽한 울림으로 오래 머물 것 같다.

※ 이 기사는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2023년 8월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ks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