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네스호 괴물 ‘네시’, 50년만 최대 탐사대...사람들 열광하는 이유는 ‘상상력’

장윤서 기자 2023. 8. 28. 16: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연구자들과 열성 팬들이 전설 속 괴물 ‘네시’를 찾기 위해 영국 스코틀랜드 네스호(湖)로 모였다. 이들이 네시에 열광하는 이유는 설명하기 어려운 자연적 행동과 현상을 기록, 연구하는 것에 매료된 탓이다. 하지만 이러한 여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7일(현지 시각) 워싱턴포스트·로이터 등에 따르면 주말인 26∼27일 이틀간 세계 각국에서 온 자원자 수백명과 드론과 같은 첨단 장비가 스코틀랜드 인버네스 네스호 수변에 투입돼 ‘네시’ 수색에 나섰다.

네스호 괴물을 찍었다고 주장한 1934년 영국 외과의사의 사진. 이 사진은 가짜로 판명됐다./AP연합뉴스

영국 스코틀랜드 인버네스에 36㎞ 길이로 뻗어 있는 네스호는 최대 깊이가 240m로, 부피로 따지면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큰 담수호다.

네스호 센터((Loch Ness Center)는 이 호수와 같이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현상을 연구하는 연구 그룹인 네스호 탐험대와 협력해 더 퀘스트(The Quest)라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들은 네시의 전설적인 이야기에 매료돼 미스터리를 풀고 탐구하려는 열정을 지닌 자원 봉사 사냥꾼을 모집했. 한때 이벤트가 열린 웹사이트는 지원자가 급증해 서버가 마비가 되기도 했다.

네스호 센터를 이끄는 폴 닉슨 센터장은 “이 괴물 이야기는 현존하는 가장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 중 하나”라면서 “이번 주말에는 답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우리가 네시를 발견한다면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스호 센터와 네스호 탐사대는 이번 탐사가 영국 사회 각계에서 참여했던 ‘네스호 현상 조사 사무소’가 1972년 대대적인 수색 작업을 벌인 이후 51년 만에 최대 규모라고 보고 있다.

수백명의 탐사대가 네시를 찾기 위해 수색에 나섰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속 비가 내리고 날씨가 좋지 않아 드론을 띄우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이다. 이들은 열 추적 장비를 장착한 드론, 적외선 카메라를 장착한 보트, 수중 청음기 등을 이용해 네스호 주위 곳곳에 자리를 잡고 호수를 추적했다.

자원 봉사 연구 그룹인 ‘네스호 탐사대’의 알렌 매케나는 “보트에서 수중 청음기 시스템을 사용했고, 사전 테스트 때 의문의 소리를 4차례 감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모두 흥분해 녹음기가 켜져있는지 확인했지만 꺼져있었다”며 이를 증명할 물질적인 증거는 없다고 했다.

네스호 괴물에 관한 전설은 6세기부터 기록이 나와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네시가 주목받기 시작한 건 1933년 호텔 지배인 올디 매케이 등의 “고래처럼 생긴 생물을 봤다”는 목격담이 퍼지면서다.

1933년 5월에는 인버네스 쿠리어 신문이 호수 주변 도로를 운전하던 부부가 호수 속에서 “엄청난 격변”이 이는 것을 보았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몸통이 고래와 비슷한 호수 속 괴물이 약 1분 요동치자 물은 끓어오르는 가마솥처럼 폭포처럼 휘몰아쳤다. 같은 해 12월에는 영국 데일리 메일이 바다뱀으로 여겨지는 괴물을 찾기 위해 남아공의 전문 사냥꾼 마마듀크 웨더렐을 초빙하기도 했다.

이듬해엔 긴 목에 머리가 물밖으로 나온 영국 외과의사가 찍은 사진이 공개돼 파장이 일었다. 이에 영국 정부는 네시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1960년대 네스호 조사국을 설립했지만 이렇다 할 증거를 발견하지 못해 1977년 이를 해체했다. 이 사진은 수십년 후 사기극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에도 네시의 전설은 수많은 책과 영화, TV 프로그램 소재로 활용됐고 스코틀랜드 지역 경제에 연간 수백만 파운드의 관광 수입을 안겼다.

네스호 센터는 현재 공식적으로 기록된 네시 목격담만 1100건에 달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두고 과학계는 관광객들이 몸집이 큰 장어를 보고 괴물로 여긴 것으로 추정한다. 2019년 뉴질랜드 오타고대 연구팀은 네스호에서 채취한 DNA 샘플을 토대로 대형 어류의 흔적은 전혀 없었으며, 대신 뱀장어가 다량으로 서식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물개, 수달, 다이버, 통나무 잔해 등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은 네시에 열광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곳에 오기 위해 몇 시간씩 운전을 했고, 해외에서 비행기를 타고 온 이들도 다수다. 악천후에도 스페인과 프랑스, 독일, 핀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 자원한 사람들이 수색에 참여했으며 더 멀리는 일본과 호주, 미국에서도 취재진이 몰려왔다.

이렇게 사람들이 네시과 같은 괴물에 열광하는 이유는 전설의 괴물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B급 서스펜스 영화의 단골 소재로 등장해 왔던 ‘사스콰치(Sasquatch)’, 이른바 빅풋(Bigfoot)의 정체 역시 그러했다. ‘사스콰치’란 온몸이 털에 덮인 설인(雪人·yeti)과 같은 괴생명체로 미 북서부 삼림지대에서 여러 차례 목격됐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빅풋’이란 별칭은 숲속에 거대한 발자국을 남긴 것에서 유래했다.

마이클 리틀 뉴욕주립대 빙엄턴캠퍼스 인류학 교수는 “사스콰치와 같이 존재가 입증되지 않은 미확인 동물에 대한 관심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폭발시킨다”면서 “이러한 관심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이유”라고 워싱턴포스트(WP)에 말했다. 이어 “영화와 TV 프로그램에서 네시와 같은 환상 속 동물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신화를 영속화시켜 사람들이 이것을 믿고 검색에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게 만든다”고 덧붙였다.

네스호 미스터리를 이 지역의 관광 전략으로 사용한다는 의견도 있다. 매년 100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네스호를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전설의 괴물인 네시의 미스터리를 풀 사냥터이기도 하지만, 그림과 같은 풍경과 산책로를 갖춘 위스키 양조장으로 유명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