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에서 이상한 소리났는데"…'네스호 괴물' 허탕쳤다

김수연 기자 2023. 8. 28. 13: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스코틀랜드에 있는 네시의 그림자 모양이라고 주장됐던 사진. AP연합뉴스 제공
 
영국 스코틀랜드 네스호에 산다는 전설 속 괴물 '네시' 수색에 수백 명의 글로벌 탐사대가 투입됐으나 끝내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DPA 통신과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주말인 26∼27일 이틀간 세계 각국에서 온 자원자 수백명과 첨단 장비가 스코틀랜드 인버네스 네스호 수변에 투입돼 '네시' 수색에 나섰다.

자원자들은 36㎞ 길이로 뻗어 있는 네스호 주위 곳곳에 배치돼 호수를 지켜봤으며 일부는 배를 타고 최대 깊이 240m의 호수로 진입했다.

탐사대는 열 스캐너를 장착한 드론, 적외선 카메라, 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수중 청음기 등 첨단 장비도 동원했다. 다만, 계속 비가 내리는 등 날씨가 좋지 않아 드론을 띄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또한 탐사대는 수중에서 의문의 소리가 탐지됐다고 주장했으나, 네시의 존재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었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수색을 주도한 '네스호 탐사대'의 앨런 매케나는 "우리는 4차례 특이한 소리를 들었다"며 "다들 좀 흥분해서 녹음장치가 켜져 있는지 달려가 확인했는데 꺼져 있었다"고 말했다.

추적에 나선 사람들은 열추적 장비가 어두운 호수 속에서 이상 징후 식별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수중 청음기는 네시의 특이한 수중 통화를 듣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길이 36㎞에 최대 수심 240m에 이르는 이 담수 호수는 부피 기준으로 영국에서 가장 큰 호수다.

네스호에 숨어 있다는 수생 괴물에 대한 보고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지역의 돌 조각에는 오리발이 있는 신비한 짐승이 묘사돼 있다. 괴물에 대한 최초 기록은 565년 아일랜드 수도사 세인트 콜룸바의 전기에 나타나는데, 네시는 호수에서 수영하던 사람을 공격했고 콜룸바가 물러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도 듣지 않았다.

최근에는 1933년 5월 인버네스 쿠리어 신문이 호수 주변 도로를 운전하던 부부가 호수 속에서 "엄청난 격변"이 이는 것을 보았다고 보도했었다. 보도에 따르면 몸통이 고래와 비슷한 호수 속 괴물이 약 1분 요동치자 물은 끓어오르는 가마솥처럼 폭포처럼 휘몰아쳤다.

그해 12월에는 영국 데일리 메일이 바다뱀으로 여겨지는 괴물을 찾기 위해 남아공의 전문 사냥꾼 마마듀크 웨더렐을 초빙하기도 했다.

웨더렐은 "약 6m 길이의 매우 큰 동물의 것으로 여겨지는 커다란 발자국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발자국은 런던 자연사박물관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이듬해인 1934년 로버트 윌슨이라는 영국 의사가 네시의 머리와 길쭉한 목이 호수 물 밖으로 나온 사진을 찍었다고 주장했고, 이 사진은 데일리 메일에 게재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 사기극으로 판명됐다.

인버네스 인근 드럼나드로치트의 네스호 센터에 따르면 현재 공식 기록된 네시 목격 건수만 1100건이 넘는다.

수년 간 과학자들과 아마추어 애호가들은 호수 깊숙한 곳에 철갑상어 같은 큰 물고기가 산다는 증거를 찾으려 노력했다. 일부에서는 네시가 수장룡(플레시오사우르스)이라는 선사시대 해양 파충류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972년 네스호 조사국은 당시까지의 최대 수색을 벌였지만 아무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 1987년에는 '딥 스캔' 작전이라는 수색에서 호수 전체에 걸쳐 수중 음파탐지 장비 소나를 배치, "비정상적 크기와 강도의 미확인 물체"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었다.

2018년 호수에 어떤 유기체가 사는지 알아내기 위해 네스호에 대한 DNA 조사가 실시됐는데, 많은 뱀장어가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장룡 같은 큰 동물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폴 닉슨 네스호 센터장은 "예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호수 수색을 통해 무엇을 발견하게 될 것인지 빨리 보고 싶다"고 말했다.

매케나는 수색 작업을 보여주는 실시간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로부터도 다수의 제보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수색을 기획한 '네스호 센터'와 자율 연구조직 '네스호 탐사대'는 이번 수색이 영국 사회 각계에서 참여했던 '네스호 현상 조사 사무소'가 1972년 대대적인 수색 작업을 벌인 이후 51년 만의 최대 규모라고 보고 있다.

매케나는 악천후에도 스페인과 프랑스, 독일, 핀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 자원한 사람들이 수색에 참여했으며 더 멀리는 일본과 호주, 미국에서도 취재진이 몰려왔다고 전했다.

김수연 온라인 뉴스 기자 ksy12@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