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 바꿔치기로 된서리 맞은 소래포구, 바뀔 기회는 아직 남았다[디지털 동서남북]

황금천 기자 2023. 8. 24. 0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천 남동구에 있는 소래포구는 해마다 500만 명에 이르는 관광객이 다녀가는 수도권의 대표적 관광명소다.

1974년 인천항(내항)이 준공된 뒤 새우잡이 소형 어선들이 소래포구로 정박 장소를 옮기자 새우 파시로 발전하면서 수도권의 대표적인 재래 어항으로 바뀌었다.

2017년 3월 소래포구 어시장에 큰 불이 나 현대화사업을 거쳐 2020년 3년 9개월 만에 다시 문을 열 당시에도 상인들은 불량 수산물 판매, 바가지요금, 중량 눈속임 등을 근절하겠다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 앞바다에서 조업을 마친 어선들이 남동구 소래포구 나루터에 돌아오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인천 남동구에 있는 소래포구는 해마다 500만 명에 이르는 관광객이 다녀가는 수도권의 대표적 관광명소다. 인천 앞바다에 나가 조업하는 크고 작은 고깃배 100여 척이 오가고, 물때에 맞춰 배에서 내린 수산물을 파는 재래 어시장이 열린다. 인천 도심에서 가까운 데다 서울, 경기에서도 고속도로를 이용해 1시간 정도면 갈 수 있어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

소래포구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이 일대에 염전이 들어서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일제는 소래와 군자, 남동 등 염전지대에서 생산된 천일염(天日鹽)을 인천항을 통해 수탈하기 위해 1937년 수인선(水仁線·수원∼인천) 철도를 놓는다. 이때 소래포구에 소금을 실어 나르던 돛단배들이 즐비하게 늘어서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6·25전쟁이 끝난 뒤에는 황해도 등에서 내려온 실향민들이 생계를 잇기 위해 소래포구에 대거 몰려들었다. 1974년 인천항(내항)이 준공된 뒤 새우잡이 소형 어선들이 소래포구로 정박 장소를 옮기자 새우 파시로 발전하면서 수도권의 대표적인 재래 어항으로 바뀌었다. 탁 트인 갯벌 위에 놓인 수인선 철로를 달리던 협궤열차와 소래철교도 소래포구의 명성을 알리는 데 한몫했다.

지난해 열린 소래포구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이 공연을 즐기고 있다. 남동구청 제공
이런 애환과 추억이 서려 있는 소래포구가 요즘 관광객의 발길이 급감해 된서리를 맞고 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 문제로 수산물을 기피하는 현상과 함께 소위 ‘꽃게 바꿔치기 논란’이 겹치면서다. 5월 ‘소래포구에서 살아있는 꽃게를 구매했지만 집에 와서 확인해보니 다리가 떨어진 꽃게로 바뀌어 있었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글과 사진이 온라인에 올라오면서 상인들에 대한 비난이 들끓었다. 비난은 일파만파로 확산되며 소래포구 어시장에 대한 불매운동으로까지 번질 조짐을 보였다.

소래포구 어촌계와 전통어시장상인회 등은 결국 6월 자정대회를 열고 바꿔치기는 물론 바가지요금과 섞어팔기 행위 등을 근절하겠다고 약속했다. 실제로 최근 상인회는 자체적인 단속을 펼쳐 상거래 질서를 위반한 점포 6곳에 대해 상벌규정에 따라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고 한다. 하지만 한번 돌아선 관광객의 발길을 돌리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소래포구에서 30년 넘게 조개구이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김일선 씨(54)는 “바꿔치기 논란 이후로 손님이 거의 끊겨 금~일요일에만 식당 문을 여는데 하루 매상이 10만 원을 밑돌 때가 많다”고 하소연했다.

상인들은 “일부 상인의 잘못으로 전체가 매도된 측면이 있다”며 비난을 멈춰 줄 것을 호소하고 있으나 과거에도 소래포구의 이미지가 달라질 기회는 있었다. 2017년 3월 소래포구 어시장에 큰 불이 나 현대화사업을 거쳐 2020년 3년 9개월 만에 다시 문을 열 당시에도 상인들은 불량 수산물 판매, 바가지요금, 중량 눈속임 등을 근절하겠다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각종 민원을 처리하는 소비자신고센터도 설치했지만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일부 상인들의 행위는 계속돼 왔다.

황금천 기자
소래포구가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관광객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기회는 아직 남아 있다. 다음달 15~17일 소래포구 어시장과 해오름광장 등에서 ‘제23회 소래포구 축제’가 열린다고 한다. 2001년 시작된 이 축제는 매번 30여만 명 이상 찾을 정도로 인천의 대표적 가을축제로 불린다. 예년처럼 살이 통통하게 오른 꽃게와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만든다’는 전어, 새우 등을 팔게 될 것이다. 이번 축제에서는 싱싱한 수산물을 저렴하게 판매해 소래포구 상인들이 달라졌다는 얘기가 들려오면 좋을 것 같다.

황금천 기자 kchwa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