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eginning of the bubble burst (KOR)

2023. 8. 21. 09: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hey said that the company was not keeping its promises and was not responding to their inquiries on construction delays and any plans to deal with apparent devaluation of the asset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public security officers came and told us to return without worrying about it as the company agreed to handle the situation. But we cannot leave this site, because the company does not provide any clear answer. We will continue to protest to protect our rights."

비구이위안(碧桂园). 베이징 현지 특파원에게도 낯선 단어가 최근 뉴스에 등장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gloomy outlooks that it could evolve to a Chinese version of the Lehman Brothers crisis.

PARK SEONG-HUN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Biguiyuan, an unfamiliar word even to the Beijing correspondent, has recently appeared in the news. It refers to Country Garden, the fifth largest real estate developer in China. But the reality is the opposite of the seemingly peaceful name. It was recently revealed that Country Garden failed to pay back 29.6 billion won ($22 million) in corporate bond maturity interest, and there are rumors of a possible bankruptcy.

It could put off the urgent fire by selling assets, but not being able to pay back the interests suggests its serious financial trouble. Trading of 11 types of corporate bonds was suspended i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Moreover, there is a concern that real estate trust companies that lent money to the real estate developer could go bankrupt consequently. There are gloomy outlooks that it could evolve to a Chinese version of the Lehman Brothers crisis.

On Tuesday, I visited an apartment the real estate developer was building in Beijing’s Tongzhou District. I could tell the construction site from afar. All the tower cranes were stopped. The surrounding area was dead quiet, and the construction site doors were closed.

Security guards who were running to us told us to leave the construction site. Looking around, I spotted an unexpected scene. “Let’s Protect Our Rights — Day 94!” was written on a red banner next to a van. A large tent was set up behind.

The buyers of the Country Garden units were protesting the suspension of the construction. It was not reported on Chinese media, but the developer’s financial trouble was already affecting the Chinese people. The protesters remained in place in the heavy rain earlier this month.

I told them that I was a Korean reporter and asked if I could cover their story. They were thankful for Korea’s attention on Country Garden and voluntarily agreed to be interviewed. It was almost my first time as a correspondent to meet Chinese people who were actively willing to speak to the media at a long-term protest site.

They said that the company was not keeping its promises and was not responding to their inquiries on construction delays and any plans to deal with apparent devaluation of the asset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public security officers came and told us to return without worrying about it as the company agreed to handle the situation. But we cannot leave this site, because the company does not provide any clear answer. We will continue to protest to protect our rights.”

The sentiment at the scene was at the bottom. A buyer said, “Country Garden only tells good things to the Chinese media, but we cannot believe any of it.” Another protester said, “There are at least 20,000 victims.” The developer is expected to have a net loss of 55 billion yuan ($7.5 billion) in the first half. I wondered how many more sites like this are there. The real estate slump is hitting China critically.

“내 아파트 지키자” 94일째 농성하는 그들박성훈 베이징 특파원

비구이위안(碧桂园). 베이징 현지 특파원에게도 낯선 단어가 최근 뉴스에 등장했다. 한자로 읽으면 벽계원, 푸른 계수나무 정원이란 뜻이다. 중국 5위 부동산 개발 업체명이다. 평화로운 이름과 달리 현실은 정반대다. 최근 비구이위안이 회사채 만기 이자 500억원을 갚지 못한 사실이 공개되며 부도설이 나돌고 있다. 자산 매각으로 급한 불은 끌 수 있겠지만 이자를 못 갚을 정도라면 자금난이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당장 상하이 증시에서 회사채 11종의 거래가 중지됐다. 여기에 돈을 빌려준 부동산 신탁회사들의 연쇄 도산까지 우려되는 상황. 이러다 중국발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터지는 것 아니냐는 암울한 전망이 쏟아진다.

지난 15일 베이징 퉁저우구에 비구이위안이 건설 중인 아파트를 찾아갔다. 멀리서도 ‘저 아파트구나’ 싶었다. 타워크레인이 전부 멈춰 있었다. 주변은 쥐죽은 듯 조용했고 공사장 출입문은 굳게 닫혔다. 취재진을 보고 달려 나온 경비원들이 어서 나가라고 몰아쳤다. 주위를 둘러보다 뜻밖의 현장을 목격했다. ‘권리를 지키자-94일째’ 승합차 옆에 붉은 현수막이 나부꼈다. 그 뒤로 대형 천막에 텐트까지. 공사 중단에 항의하는 비구위위안 분양자들의 장기 농성 현장이었다. 중국 언론에 보도되지 않았을 뿐 비구이위안의 자금난은 이미 중국인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었다. 이달 초 폭우에도 자리를 지켰다고 했다.

한국 기자임을 밝히고 취재가 가능한지 물었다. 이들은 한국에서도 비구이위안을 아느냐며 관심을 가져주는 데 고마워했고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장기 농성 현장도, 언론에 적극적으로 말을 하겠다는 중국인을 만난 것도 특파원 생활 중 거의 처음이었다. 그들은 “회사 측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공기 지연, 재산 가치 하락에 대한 대책을 물어도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지역 정부 관계자와 공안이 찾아와 회사 측이 문제없이 처리하기로 했다, 걱정하지 말고 돌아가도 된다고 했지만 정작 회사 측이 분명한 답을 내놓지 않아 이렇게 돌아갈 수 없다. 권리를 지키기 위해 계속 시위를 할 것”이라고도 했다.

현장의 민심은 바닥을 치고 있었다. 한 분양자는 "비구이위안이 (중국) 언론에 하는 얘기는 좋은 말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하나도 믿을 수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옆에 있던 이는 같은 피해자가 "최소 2만 명은 될 것"이라고 거들었다. 비구이위안의 올 상반기 순손실 예상액은 무려 550억 위안(약 10조원)이다. 이런 현장은 얼마나 더 많을까. 부동산 경기 침체가 중국을 잠식하고 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