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손열음 "라흐마니노프가 그린 섬세한 감정 전할게요"

김수현 2023. 8. 20. 18: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피아니스트 손열음
'악마의 협주곡' 라피협 3번
獨 명문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와
9월13일 예술의전당서 협연
"기교에만 매몰되지 않을 것
라흐의 회화적 감성 살릴 계획"
다음달 13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독일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협연하는 피아니스트 손열음. 파이플랜즈 제공


러시아 작곡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가 쓴 피아노 협주곡 3번은 피아니스트들 사이에서 ‘악마의 협주곡’으로 불린다. 초인적인 힘, 무섭도록 빠른 속도, 광폭의 음역, 폭발적인 표현력을 40분 넘게 지켜내야 하는 곡이라서다. 천재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헬프갓의 삶을 다룬 영화 ‘샤인’에서 이 곡을 두고 “미치지 않고서는 칠 수 없는 작품”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난곡(難曲) 중의 난곡’으로 불리는 이 곡의 악보를 한국 대표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인 손열음(37)이 챙겼다. 다음달 13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독일 명문악단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와의 협연 무대에 올리기 위해서다. 손열음은 2009년 밴 클라이번 콩쿠르와 2011년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각각 준우승을 차지한 이후 세계 곳곳을 돌며 연주여행을 하고 있다.

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엄청난 기교가 필요한 곡이란 이유로, 말 그대로 기교에만 매몰될 생각은 없다”며 “라흐마니노프가 악보에 그려낸 섬세한 감정선을 살려내는 것에 더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은 어릴 때부터 수없이 연습했어요. 협주곡 2번에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이 담겼다면, 3번에는 라흐마니노프의 사적인 감정과 그가 떠올린 환상들이 녹아 있죠. 그래서 이 곡을 연주할 때면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회화적인 감성을 살려내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마치 어떤 이미지가 툭 튀어나오는 것처럼, 어떤 형상을 음악으로 들려주는 것이죠. 그래야 라흐마니노프의 내면이 청중에게 전해질 테니까요.”

손열음은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와 여러 차례 합을 맞췄다. 2014년 프랑스 및 한국에서 한 무대에 섰고, 2021년에는 독일에서 협연했다. 그는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는 베토벤과 브람스로 이어지는 독일 정통 사운드를 계승하면서도, 남서부 지방 특유의 우아하면서 세련된 음색을 지켜온 악단”이라며 “음향 전체의 무게감을 잡아주는 저음 현의 독특한 색채가 특히 매력적인 오케스트라”라고 말했다. 그는 “여러 차례 손발을 맞춘 만큼 앙상블 걱정은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번 공연의 지휘봉은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와 일본 재팬 필하모닉 수석지휘자, KBS교향악단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피에타리 잉키넨(43)이 잡는다. 그와 손열음은 2021년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열린 심포니 콘서트에서 만났다. 손열음은 잉키넨에 대해 “과감한 추진력과 결단력으로 악단의 방향성을 만들어내는 훌륭한 지휘자”라고 했다.

“잉키넨은 믿을 수 있는 지휘자예요. 언제나 작품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확실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거든요. 악단을 통솔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솔리스트와 하나의 음악을 만들어가기 위해 소통하는 능력도 뛰어나죠. 잉키넨과의 작업은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이번 공연은 손열음이 3년을 기다린 무대다. 원래 2020년 오를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몇 차례 연기됐다. 이로 인해 2018년 이후 2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으려던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의 내한 일정도 3년 늦춰졌다.

“지난 3년간 몇 번이나 공연 얘기가 오갔는데, 코로나로 매번 무산됐죠. 레퍼토리도 계속 바뀌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공연은 못 하나 보다’ 체념했는데, 이렇게 다시 성사되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코로나로 잃어버린 시간이 다시 채워진 느낌이랄까. 그래서 다른 공연보다 더 특별하다는 기분이 듭니다.”

손열음은 어떤 음악가로 기억되고 싶을까. “연주 자체가 흔적이 되는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연주자들을 떠올려 보면 온전히 그의 음악, 그가 낸 소리로만 기억되거든요. 이름이 뭔지, 어떤 상을 받았는지, 국적이 어디인지 등은 머릿속에 떠올려지지도 않습니다. 저 또한 청중에게 그런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어요. 어떤 수식어도 없이, 그저 멋진 연주로만 각인되는 사람이요.”

이번 공연에는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서곡, 베토벤 교향곡 7번 등도 함께 연주된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