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쾌한 시선 … 韓대표 MZ작가 2인전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3. 8. 16. 1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달 프리즈 위크에 전시
학고재 80년대생 작가전
이우성 '여기 앉아보세요'
"나눠먹는 수박 좋아 그려"
지근욱 '하드보일드 브리즈'
질서정연한 추상화로 눈길
이우성 '여기 앉아보세요'.

9월 프리즈 위크는 K아트의 글로벌 쇼케이스다. 전 세계 미술계 VIP와 컬렉터 수천 명이 방문하는 이 기간 국내 갤러리들은 야심 차게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김구림과 정연두, 리움미술관은 김범과 강서경, 국제갤러리는 최욱경, 갤러리현대는 성능경이 간판 작가로 관람객을 만난다.

쟁쟁한 원로·중견 작가들 라인업에 1980년대생 '젊은 피'가 슬쩍 끼어들었다. 학고재에서 선택한 이우성(40)과 지근욱(38)이다. 미술학원에서 탄탄한 기본기를 익힌 '홍대 키즈'인 두 작가는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구상과 추상이라는 대비되는 방식으로 탐구한다.

9월 13일까지 학고재 본관에서 열리는 이우성 개인전 '여기 앉아보세요'는 작가의 변신이 눈길을 끄는 전시다. 이우성은 청춘의 표상을 전통미술과 민중미술에서 활용된 걸개그림에 담는 게 전매특허였다. 이번 전시에도 친구·가족 등 가장 가까운 존재를 다채로운 초상화로 그리면서도 대부분의 그림을 캔버스에 담았다.

21세기형 상형문자도 고안했다. 4만년 전 동굴벽화의 선명한 손그림을 보며 그는 그 시대의 일상과 언어가 상형문자로 담기는 과정을 재현해보고 싶었다. 오늘의 일상을 상징하는 노트북, 좋아요 같은 표상들을 통해 바다 바위에 암각화처럼 새겨 걸개그림으로 크게 걸었다.

작가는 "상형문자같이 벽화에 그려진 사람들처럼 지금의 시간을 그려볼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본격적으로 초상화를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확장됐다"고 했다. 늘 프레임 밖에 존재했던 자신의 얼굴도 그리며 프레임 안으로 걸어 들어온 이유다.

'자화상' 연작은 그의 작품을 꾸준히 봐온 이들이라면 놀랄 만큼 새롭다. 구부정한 만화 캐릭터 같은 작가는 마감에 쫓기며 밥을 먹고, 노래방을 가고, 스마트폰에 몰두한 모습으로 우스꽝스럽게 그렸다.

작가는 "저를 미화시키는 게 아니라 작업이 막힐 때마다 한 점씩 편하게 그렸다"고 했다.

상큼한 색조와 감성이 여름에 딱 어울리는 '여기 앉아보세요'는 수박을 그린 두 작품으로 개막 전에 팔렸다. 가족 초상에도 수박, 김밥 등 먹거리를 잔뜩 배경에 담았던 그는 "수박을 자주 그리는 건 기분이 좋아서다. 혼자 먹을 수 없고, 나눠 먹어야 하는 이 과일에서 떠오르는 무드가 좋았다"고 했다.

지근욱 '교차-형태 006'. 학고재

지근욱의 추상은 '하드보일드 브리즈'란 제목으로 학고재 신관에 모였다. '단단하게 여물어지는'으로 해석되는 이 말은 이번 작업의 강하고 여린 두 측면을 상징한다.

망점이 가득 채워진 캔버스에 파버 카스텔 색연필로 직접 그어나간 선들은 수직으로 수평으로 때로는 곡선으로 출렁인다. 마치 인쇄물처럼 정교하게 1층의 '임시의 태', 지하 1층 '상호-파동', 지하 2층 '교차 형태' 등으로 변주된다. 바닥에 앉아서 직접 제작한 철제자를 놓고 선을 긋는데, 한 번의 큰 실수가 있으면 직접 제작한 비정형의 캔버스도 버려야 한다.

패턴이 변주되는 '물리학적 그림'을 그리는 작가는 양자역학 등 과학에 관심이 많다. 작가는 "색의 변화를 만들면서 오로라의 이미지를 레퍼런스로 사용했다. 토성의 고리는 멀리서 보면 뚜렷하지만 가까이에선 우주먼지로 가득한 걸 상상하며 작업했다"고 말했다.

지하 2층 벽을 가득 채우는 초대형 '교차 형태' 연작은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한다. 유럽의 초대형입자충돌기계(CERN)의 입구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과학자가 미술관에 온 것 같다. 전시를 기획한 박미란 큐레이터는 "다부진 듯 온유한 선, 무정한 듯 세심한 그리기의 시간이 화면에 나란히 축적된다"고 해석했다.

[김슬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